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漢文 지식이 필요한 시대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신 후에도 한문이 주로 쓰여졌고 한글은 언문이라 해 서민층이나 부녀자들이 주로 써왔다. 하지만 건국 후에는 한글 전용 정책으로 일관, 한자 문화권인 동양 삼국 중에서 한국만이 한맹(漢盲)을 양산해 절름발이 문명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일본은 일본 문자와 한자를 겸용하고 중국은 어려운 한자를 간자로 바꾸어 사용하고 있다. 한국이 한자 교육을 배제해온 결과 국민교양과 기업업무에 있어서 그 언어의 뜻을 모르고 쓰기 때문에 많은 착오와 능률 저하를 초래하고 있다. 한자로 표기하면 의미를 쉽게 알 수 있는 것을 한글로만 쓰니 의미를 모르고 쓰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출신 학교와 부모의 이름도 한자로 쓰지 못하는 대학 졸업생이 수두룩하다. 지금은 인터넷으로 사원모집 광고를 내지만 자기 이력서를 한자로 못쓰는 사원을 어느 회사에서 뽑아주겠는가. 정운찬 서울대 총장은 최근 한 기고문에서 새로운 동북아 시대를 맞이해 한자 문명권의 잠재적 시장 가치를 평가했다. 또한 동북아의 정치ㆍ경제ㆍ문화적 교류를 촉진시키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한자에 대한 지식이 미비한 상태에서는 승자가 될 수 없으며 학문 상호간의 연계성을 고려할 때 한자능력 향상은 대학의 현실적 과제임을 강조했다. 기업 내에서의 각종 서류도 거의 한자와 연계돼 있다. 하지만 그 뜻을 정확히 모르고 써서 오류를 범하는 사례가 많다. 이는 수준 낮은 언어구사로 기업활동이 낮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게 되는 위험성이 있다. 영어가 국제언어라 하더라도 일본이나 중국인 모두가 영어를 잘하지는 못한다. 실제로 일본과 중국에서는 영어 대신 한자를 통한 필담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나는 어려서 배운 한자 지식으로 한자가 섞인 일본 서적을 쉽게 읽을 수 있다. 또한 일본ㆍ중국과의 비즈니스에서도 한문 지식이 크게 도움이 됐다. 해외 거주 화교를 포함해 15억 인구의 중국이 21세기에서의 역할이 커지는 이때에 우리만이 한자 문화권에서 외톨이가 되어서는 안된다. 학교에서 한자를 가르치고 기성 사회인들도 한자교육에 큰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제는 영어 다음으로 중국어가 필수인 시대로 바뀌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