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납토성서 2~3세기 무문토기등 유구 94기 출토<br>국립문화재硏 6차 조사
| 옛 미래마을 부지로 사적 11호로 지정된 풍납토성 197번지 일대 중 이번에 가장 오래된 백제 주거지가 확인된 '라지구'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한성백제시대(기원전 18~기원후 475년)의 도성(都城)으로 알려진 서울 송파구 풍납토성일대(옛미래마을지구ㆍ 사적 제 11호)에서 가장 오래된 백제 초기의 주거지가 확인됐다.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는 풍납토성 197번지 일대에 대한 6차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성백제시대 주거지 8개 동을 비롯한 총 94기에 이르는 유구(遺構)를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조사의 가장 큰 성과는 풍납토성 일대에서 발견된 것 중 가장 이른 시기에 해당하는 '한성백제 전기'의 주거지가 확인돼 백제초기의 주거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확보했다는 점이다.
'라-2호'로 분류된 이 주거지에서는 2~3세기경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풍납동식 무문토기'라 불리는 '경질무문토기(硬質無文土器)'가 사용된 흔적이 확인됐다. 이보다 나중 시기에 통용된 계란 모양인 '장란형(長卵形)토기' 같은 자비용기(煮沸容器ㆍ끓이는 용도의 토기)는 발견되지 않아, 그 전 단계에 축조된 것으로 연구소는 분석했다.
이 주거지는 기원전후 무렵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한반도 중부지방에서 보이는 전형적인 주거지 평면 양식인 여(呂)자형, 철(凸)자형 주거지와 유사한 형태로 방형(方形)평면의 큰 방에 출입구가 붙은 형태였다. 주거지 내부에서는 화재로 이 집터가 소실된 흔적과 쪽구들, 점토띠 형식의 화덕이 발견됐다.
조사단은 "이와 유사한 형태의 화덕을 갖춘 주거지는 풍납토성에서 가까운 하남 미사리 유적에서도 확인된 바 있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풍납토성에서 발견된 주거지 중 빠른 시기의 것은 1997년 현대연합주택부지 조사에서 드러난 '一'자형 부뚜막을 갖춘 육각형 주거지(가-2호)로 평가됐었다.
한편 이전 조사에서는 당시 활발한 대외교류를 짐작케 하는 중국제 청자조각이 주거지 주변에서 발견됐으며, 흙으로 만든 기둥 장식품 20여 점과 아직 학계에 보고된 적이 없는 동전무늬(錢文) 수막새와 수막새 등기와가 함께 출토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