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 인플레 먹구름

6월 도매물가 상승률 27년만에 최고치


일본의 도매물가가 유가와 곡물가격 급등의 영향으로 27년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이에 따라 일본 경제는 올 하반기에 심각한 인플레이션 악재에 시달릴 것으로 전망된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10일 일본은행(BOJ)은 월간 생산자물가를 나타내는 기업물가지수(CGPI) 상승률이 지난 6월 전년동기 대비 5.6%에 달했다고 밝혔다. 일본 CGPI가 이 같은 상승세를 기록한 것은 지난 1981년 2월 이후 27년만에 처음이다. 이번 CGPI 상승률은 블룸버그가 이코노미스트 3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예상치 5.3%을 뛰어넘은 것이다. 5월 CGPI 상승률은 4.8%였다. 일본의 도매물가가 최고치로 오른 것은 지난해부터 글로벌 유가와 밀, 콩 등 주요 곡물가격이 폭등하면서 관련기업들의 생산 비용에 큰 부담을 줬기 때문이다. 일본의 3대 식용유회사인 닛신 오일리오, J-오일 밀스, 쇼와 산교는 이번달 일제히 제품가격을 올렸다. 식품 대기업인 아지노모토는 마요네즈 가격을 인상했으며, 토마토 케?과 캔 식품을 제조하는 카고메는 토마토 주스 가격을 10% 올렸다. 일본 기업들의 비용상승은 고스란히 소비자들의 몫이 되고 있다. 일본의 지난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신선식품을 포함해 1.3% 올라 8개월 연속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이달 일본의 CPI가 큰폭으로 오를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 때문에 기업들의 올 첫분기 실적(4월~6월)에서 7년만의 적자를 낼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도 나왔다. 앞서 일본의 5월 경상수지 흑자가 3개월 연속 감소한 것도 일본 내수 경기 둔화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국제유가는 올들어 46% 폭등했는데, 같은기간 일본의 시중 휘발유 가격은 18%나 올라 리터당 181.5엔(약 1,700원)에 팔리고 있다. BOJ가 발표하는 해외상품지수(OCI)는 6월 한달간 전년동기 대비 70.9%나 뛰었다. 국제상품시장에서 지난 1년간 밀ㆍ옥수수ㆍ콩 가격은 각각 76%, 58%, 85% 치솟았다. 니시오카 준코 RBS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도매물가가 급격히 오르고 있어 기업들이 이를 감당할수 없는 지경”이라며 “어떤 대책을 쓸 겨를도 없이 소비자들에게 비용이 전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카토 아주사 BNP파리바 도쿄의 이코노미스트는 “일본의 물가상승률은 그나마 다른 국가들에 비해 안정적인 편”이라며 “이로 인해 BOJ가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예상하기는 아직 이르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