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 증권업진출 행보 빨라진다

기업銀, 일부 연기금 접촉 증권사 신설 투자요청<br>국민銀, 단독출자 방침… 조만간 설립신청서 제출<br>증권업계선 산업證등 도태사례들어 회의적 입장


증권업 진출을 위한 은행권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14일 금융계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일부 연기금을 전략적 투자자로 확보한 후 증권사를 새로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며 국민은행도 금감위의 세부 규정안이 나오는 대로 조만간 신규설립 제안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이들은 장부가치에 비해 인수비용이 높은 기존 증권사를 인수하기보다는 증권사를 신규 설립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지만 시장상황에 따라 기존 증권사를 인수하는 방안도 병행할 방침이다. 기업은행은 일부 연기금과 연쇄적으로 접촉해 새로 설립하는 증권사에 투자해달라고 요청했다. 연기금의 한 관계자는 “기업은행으로부터 신설 증권사에 투자해달라는 제의가 들어와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경영권은 기업은행이 갖고 우리는 재무적 투자자로 나서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신설 증권사는 연기금의 주식 매매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동시에 판매망도 넓힐 수 있고 연기금은 투자수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윈윈(Win-Win)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기업은행 고위관계자는 “(증권업 진출 방법과 관련해) 아직 금감원ㆍ재경부와 협의가 끝난 것은 아니지만 정부의 방침이 정해지면 곧바로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증권사를 새로 설립한 후라도 다른 증권사를 인수해 통해 규모를 키워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민은행도 신규 설립에 비중을 두고 금감원의 세부 규정안이 마련되는 대로 설립 신청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국민은행의 한 고위관계자는 “한누리증권을 비싼 가격에 사지 않겠다는 것은 우리들의 변함없는 입장”이라며 신규 설립 방침을 우회적으로 표현했다. 그는 “자본금 요건 등 금감원의 세부 규정안이 어떻게 정해지든 우리는 단독 출자하게 될 것”이라며 “신규 증권사 설립을 위한 서류작업은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증권계에서는 은행들이 인수합병(M&A) 대신 신규 설립으로 증권업에 진출하는 방안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나타냈다. 증권업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이미 지난 90년대에 산업증권과 조흥증권 등 은행이 신설한 증권사들이 경쟁에서 살아남지 못하고 도태한 사례가 있다”면서 “증권산업은 인력과 전산 등 인프라가 중요한데 신설 증권사가 자체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는 시간도 많이 걸릴 뿐더러 막대한 자금이 투입돼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