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나라 전당대회 방식 바뀌나

소장파·중도파 '朴-李대리전 불가론' 펴<br>朴-李진영 내부서도 '힘 쏠림 현상' 경계

한나라당의 다음달 11일 전당대회가 ‘박근혜-이명박 대리전’ 양상으로 전개돼서는 안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전당대회는 이명박 서울시장 측 인사인 이재오 원내대표와 박근혜 대표의 측근인 김무성 의원이 맞붙는 대권후보간 ‘대리전’ 양상으로 전개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소장파ㆍ중도파 의원들이 ‘대리전 불가론’을 펴고 양 진영 내부에서도 양자대결 구도에 부담을 느끼고 있어 전대의 성격이 바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전대가 박근혜-이명박간 양자 대리전 성격으로 전개될 경우 어느 한쪽이 상처를 입게 돼 힘의 기울어짐 현상이 초래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이들의 논리다. 소장개혁파의 대표주자인 원희룡 최고위원은 “과거처럼 대선 주자들의 대리전이나 줄 세우기 경쟁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소장파 의원모임인 수요모임은 7일 회동을 갖고 바람직한 전대 방향에 대해 논의하기로 했다. 중도성향 의원모임인 푸른모임도 9, 10일 원주 문막에서 워크숍을 열어 전대 문제를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소장개혁파들이 대리전 구도에 경계심을 보이는 것은 대선 후보군을 박근혜-이명박-손학규 등 ‘빅3’로 한정할 필요가 없다는 계산도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소장파는 물론이고 새 지도부에서도 대권후보가 얼마든지 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푸른모임 소속 임태희 의원이 당권ㆍ대권 분리규정을 폐지하고 대선 후보군을 대폭 확대하자고 주장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나왔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박-이 진영 내부에서도 대리전을 경계하는 물밑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박 대표 측근인 김무성 의원은 이번 전대가 ‘박-이 대리전’으로 비쳐지는 것을 꺼려 당대표에서 원내대표로 방향을 트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이재오(당대표)-김무성(원내대표)’ 투톱체제가 가장 유력하지 않겠느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