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난곡지역 신교통수단 도입

'유도 고속차량' 전용차로로 무인운전<BR>난향初~신대방역 구간 2008년개통


오는 2008년 7월께 서울의 대표적 대중교통 취약지인 관악구 난곡지역에 도로 위 궤도를 달리는 신교통수단이 도입된다. 서울시는 23일 난곡지역(신림3ㆍ4ㆍ7ㆍ8ㆍ11ㆍ12ㆍ13동 일대)에 새로운 교통수단인 GRT(Guided Rapid Transitㆍ유도고속차량)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GRT는 대형 버스와 같은 차량이 중앙분리대 양쪽에 설치된 전용차로를 달리는 방식으로 운행되며 광학 또는 자기장을 이용한 운행 유도장치를 부착해 무인운전이 가능하다. 전용 주행로에는 자기안내궤도가 설치된다. 시는 내년 6월 착공에 들어가 2008년 7월 개통한다는 방침이다. 운행노선은 난향초등학교에서 출발해 난곡길을 따라 난곡우체국ㆍ난곡사거리를 거쳐 지하철 2호선 신대방역까지 2.8㎞ 구간이다. 정거장은 평균 500m 간격으로 6곳에 설치되고 신대방역에서 지하철 2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시는 신교통수단 건설을 위해 현재 왕복 2~4차로인 난곡길을 왕복 6차로로 확장하고 중앙 2차로는 일반 차로와 분리된 GRT 전용차로로 만들기로 했다. 차량은 5대가 운행되고 요금은 현재의 버스요금 체계와 같이 책정되며 환승할인도 적용된다. 정순구 시 교통국장은 “1량당 70~80명 탑승이 가능해 하루 3만8,000여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시는 신교통수단이 개통되면 이 구간의 출퇴근대 평균 소요시간이 현재 20~30분에서 7~8분 이내로 크게 단축될 것으로 예상했다. 총사업비는 2,000억원 가량으로 시는 이 가운데 40%는 중앙정부의 재정지원을 요청하기로 했다. 한편 서울시는 동대문구 전농동~중랑구 면목동 지역에도 신교통수단을 도입하기 위한 용역을 올해 중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노선은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과 7호선 사가정역 연결을 기본으로 세부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