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서민금융기관 수익구조 '너무 취약'

신협·새마을금고등 수수료 수익비중 3%대<br>작년 11%대로 오른 은행의 3분의 1 수준<br>학자금대출 일임·펀드 판매등 허용해줘야



신협ㆍ새마을금고 등 서민금융기관의 수수료 수익 비중이 3%에 불과해 수익구조가 아주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전문가들은 학자금 대출, 서민 자금지원, 공무원 연금 급여 지급 등 정책자금은 은행이 아닌 서민금융기관이 취급하도록 허용해 수수료 수입 비중을 높여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9일 금융계에 따르면 은행의 이익 가운데 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05년 10.7%에서 2007년 11.2%로 높아졌다. 그러나 같은 기간 동안 새마을금고는 3.2%에서 3.0%로 줄어들었고, 신협은 3.2%에서 3.6%로 소폭 늘었지만 여전히 3%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는 은행의 3분의1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 은행은 수익증권ㆍ방카슈랑스 판매 등 대리사무취급 수수료와 기업금융 등 다양한 수익원을 갖추고 있다. 반면 신협은 대출이자에 의존한 이자수익이 96%를 차지하고 새마을금고도 대출을 제외하면 연합회 예치와 유가증권 투자 외에는 별다른 수익원이 없다. 이처럼 서민금융기관이 예대마진에 의존하고 있지만 대출은 답보상태다. 예금에서 대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예대비율은 새마을금고의 경우 2005년 47.9%에서 지난해 말 48.8%로 소폭 오르는 데 그쳤고, 신협은 66.1%에서 75.4%로 높아졌다. 하지만 저축은행(93.5%)이나 은행(83.3%)에 비해서는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새마을금고와 신협 등은 공제(보험)상품 판매를 늘려 비이자 수익을 확충해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재무설계사(FC)를 뽑고 세일즈매니저(SM) 등 새로운 판매 채널을 도입했지만 공제 수수료 수입 비중은 1%에 불과한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서민금융기관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미국 등 선진국처럼 학자금ㆍ서민 대출 등 정책금융 지원은 지역 네트워크가 좋은 서민금융기관을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새마을금고와 신협 관계자들도 “공무원 연금 수령대상 금융기관 지정ㆍ펀드 판매 허용 등 정부의 지원과 함께 영업 확대가 필요하다”고 하소연한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3조원 규모인 학자금 대출을 서민금융기관이 맡도록 하면 0.5%, 약 150억원의 수수료 수입을 얻게 된다”며 “은행은 기업금융과 해외로 나가고 정책금융은 서민금융기관이 담당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하는 동시에 새마을금고의 감독은 금감원으로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