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中企 CEO 10명중 6명 "경영승계 계획있다"

후계자, 가족·임원順 꼽아…10명중 2명은 "폐업"


중소 제조업체 최고경영자(CEO) 10명 가운데 6명 정도가 은퇴시 적당한 후계자에게 경영을 넘겨주겠다는 원칙을 이미 정했고 그 대상자로 절반 가까이가 직계후손이나 친인척을 꼽았다. 하지만 자기 세대에서 사업을 접겠다는 비중도 10명 가운데 2명 가까이나 됐다. 6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327개 중소 제조업체 CEO를 대상으로 ‘경영승계 의견’을 조사한 결과 61.2%(200명)가 후계자에게 경영을 승계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경영승계를 결정한 CEO들은 대상자로 직계후손(38.5%)이나 친인척(2.0%) 등 가족을 가장 많이(40.5%) 꼽았지만 내부 임직원을 발탁(24.0%)하거나 전문경영인을 영입(11.5%)할 계획을 가진 경우도 적잖았다. 그러나 24.0%는 아직 후계구도를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영승계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소기업(58.0%)보다 중기업(72.9%), 일반기업(56.9%)보다 벤처ㆍ기술혁신형 중소기업(Inno-Biz) 등 혁신형 기업(77.6%)에서 더 많았다. 한편 이번 조사에 응답한 CEO의 18.3%는 자기 세대에서 폐업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20.5%는 아직 구체적인 계획을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업 이유로는 업종전망 불투명(48.7%), 각종 규제 등 경영외적 부담(18.4%), 마땅한 후계자가 없어서(10.5%), 생산직 고령화로 기능 승계가 어려워서(9.2%) 등을 들었다. 기업승계와 관련, 애로요인으로는 상속세 부담(40.0%), 후계자 경영능력에 대한 불확신(19.3%), 후계자 양성 프로그램 부재(13.9%), 적절한 후계자 없음(11.5%) 등을 꼽았다. 최윤규 중기중앙회 조사통계팀장은 “중소기업이 장기간 존속할 수 있었던 비결은 오랜 역사를 통한 경영 노하우와 끊임없는 기술혁신인데 경영승계가 원활히 이뤄지지 못하면 개별기업은 물론 국민경제에도 큰 손실”이라며 “원활한 기업승계가 이뤄지도록 정부와 컨설팅 회사, 금융기관 등이 기업상속세 공제한도 상향 조정, 승계 프로그램 지원 등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