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서울 아파트 전셋값 매매價의 49%

66개월만에 절반아래로… 역전세난 심화될듯

주택시장의 침체와 신규주택 입주량 증가로 서울 지역 아파트 전세가격이 5년 6개월 만에 매매가격의 절반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최근 서울 지역의 주택거래가 실종되면서 아파트 매매가격은 물론 전세가격이 크게 하락한 데 따른 것으로 전셋값 약세가 지속될 경우 당분간 집주인이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는 ‘역(逆)전세난’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13일 국민은행의 지난 6월 전국주택가격동향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49.7%로 전월(50.1%)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율이 50% 아래로 내려간 것은 98년 12월(47.9%) 이후 5년 6개월 만에 처음이다. 서울 지역 전세가 비율은 외환위기 당시를 제외하면 99년 말 이후 매년 60%선에 달했으며 2002년 9월(58.7%) 처음 50%대로 떨어진 후 최근까지 줄곧 절반 이상을 웃돌았다. 아파트 전세가 비율이 하락하는 것은 주택거래신고제 등의 여파로 거래가 크게 감소하면서 아파트를 매입하려는 세입자 수요가 크게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매매수요는 급감한 반면 입주량은 크게 늘어 전세가격과 전세가 비율 하락을 부추기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국민은행 조사결과 지난달 서울 지역 아파트 전세가는 전월보다 0.9% 떨어져 연중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이는 같은 기간 서울 지역 매매가 하락폭(0.2%)의 4.5배에 달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