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뇌 '시각피질' 새 인식기능 밝혀내

연세대 김민식·이도준 교수팀<br>물체 시각적 특징과 함께 공간적 정보도 처리

물체의 색ㆍ모양 등 시각적 특징을 인식하는 뇌의 시각피질(뒷머리 아랫부분)에서 날아가는 공의 이동궤적 같은 시공간적(時空間的) 특성도 함께 처리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규명됐다. 그동안 사람은 사물을 파악할 때 시각적 특징은 시각피질에서, 공간정보는 뇌의 윗부분에서 따로 인식한 뒤 두 정보를 통합 처리하는 것으로 알려져왔다. 그러나 움직이는 물체 같은 시공간적 정보를 뇌가 처리하는 과정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연세대 심리학과 김민식(45), 이도준(37) 교수팀은 사람 뇌의 측두엽 아랫부분에 위치한 시각피질이 물체의 시각적 특징과 함께 시공간적 연속성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연구팀이 정상인들에게 두 장의 똑같은 얼굴 사진을 시공간적 연속성이 있는 조건과 없는 조건에서 컴퓨터 화면에 연달아 제시하고 기능성 자기공명영상장치(fMRI)로 뇌 활동을 관찰했다. 시각피질은 두 장의 똑같은 얼굴 사진이 시공간적 연속성을 갖는 조건에서만 혈류량 감소를 보였다. 그 결과 똑같은 얼굴 사진이라도 시공간적 연속성이 있는 조건이냐, 없는 조건이냐에 따라 동일인, 또는 다른 사람으로 인식했다. 이 교수는 “뇌가 시각정보 처리 초기 단계부터 시공간적 정보를 시각적 특징들과 함께 처리하기 때문에 (날아가는 공 같은) 목표물을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는 인공시각 개발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