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문화재청 ‘문화재 정책 새 패러다임’ 세미나

28일 오전 9시30분 고궁박물관서

문화재청은 문화재 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고 실천하기 위한 세미나를 오는 28일 9시30분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문화융성시대, 문화재 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과 실행’을 주제로 개최되는 이 세미나는 김권구 문화재위원의 ‘국민행복 시대를 여는 향후 50년 문화재 정책 방향’에 관한 기조 발제를 시작으로, 문화재 관리체계 개선 관련 6개 분야 전문가의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된다.


1962년 ‘문화재보호법’ 제정 이후 현재까지 1만1,241건의 지정·등록문화재를 보존하고, 석굴암ㆍ불국사 등 34건의 세계유산을 관리하는 등 우리나라 문화재 정책은 민족의 소중한 문화ㆍ자연유산을 온전히 지키고, 국격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기여를 했다.

관련기사



그러나 ▲도시화 진전에 따른 지역 공동체의 붕괴 ▲문화재 보존과 지역 개발 간 갈등 심화 ▲문화재 개념의 확대와 보존 대상의 다양화 ▲문화재 보존ㆍ향유 주체로서 국민 역할 확대 요구 ▲기후변화 심화 등 문화재 보존 환경의 변화는 문화재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해 그간 관계 전문가와 문화재청ㆍ소방방재청ㆍ산림청 직원이 참여하는 TF팀을 구성하고, 워크숍을 개최하는 등 문화재 보존의 새로운 틀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문화재청은 이번 세미나에서 제기된 정책 제안들을 반영하여, 문화재의 체계적 보존과 국민생활 불편 저감, 문화재 일자리 창출 등을 포함한 문화재 관리체계 개선 기본계획을 마련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이재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