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사회학과 연구원들은 옥스퍼드대학, 런던보건대학원 연구원들과 함께 IMF와 에볼라의 급속한 확산간 연관성에 대해 조사했다.
연구팀은 22일(현지시간) 공개한 조사결과보고서에서 IMF의 개혁 프로그램이 서아프리카 3국 보건 시스템의 예산 부족과 의료진 부족을 초래하고 에볼라에 대한 공동 대처를 가로막았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1990∼2014년 IMF의 차관 프로그램 정보를 통해 에볼라 발병 이전 IMF가 강요한 정책이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3국에 미친 영향을 조사 분석했다.
이들은 IMF의 경제개혁 요구로 3국의 보건시스템이 부실해졌음을 알아냈다.
IMF가 강요한 개혁은 정부 지출 감소와 공공부문 임금 동결, 보건 시스템의 분산 정책 등이다.
연구팀은 IMF의 정부 지출 감소 정책을 극도로 엄격하게 적용, 시급한 보건 분야 과제에 쓰였어야 할 자금을 흡수했다고 주장했다.
연구보고서 공동 저자인 케임브리지대학 사회학자 로런스 킹은 “에볼라 발병 직전인 2013년 기니 등 3국은 IMF의 경제관련 지시를 이행했으나 보건 분야의 필요성 증대에도 불구 지출을 늘리는데 모두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IMF의 공공부문 임금 동결은 간호사, 의사 고용과 적절한 임금 지급을 불가능하게 만들었고 보건 시스템 분산으로 에볼라와 같은 전염병 발병에 공동 대응하기가 어려웠다.
IMF 대변인은 “IMF의 권한 범위에 구체적으로 공중보건이 포함돼 있지 않으며 에볼라 확산이 IMF 정책 탓이라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그는 “2009년 이후 빈곤국들에 대한 IMF의 대여는 제로 금리 수준이어서 이들 국가가 보건과 교육 지출을 늘릴 수 있는 길을 열어놓았다”고 덧붙였다.
IMF 대변인은 “지난 9월 에볼라 대응을 위해 1억3천만 달러의 금융지원을 제공했고 내년에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에 비슷한 규모의 금융지원을 하기 위해 작업 중”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미디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