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이 직장폐쇄를 검토하게 된 것은 우선 노조 파업이 9일째 접어들면서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매년 고율의 임금인상으로 노조를 달래 왔지만 또 대폭 올릴 경우 앞으로 회사 경영에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는 판단도 바탕에 깔려있다.
◇피해 규모 급속 확산= LG화학은 청주ㆍ울산ㆍ익산ㆍ온산 등 4개 사업장의 장기 파업으로 매출 차질 규모가 1,000억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더 큰 문제는 회사의 신뢰도 추락과 관련 업체의 피해 확산이다.
LG화학은 “자동차 부품 및 정보전자 소재 제품의 생산 차질로 인해 이들 제품을 사용하는 자동차ㆍ전자ㆍ건설 업계 등의 고객사들의 피해도 점차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마디로 협력회사나 관련 업체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직장폐쇄를 단행, 비노원이나 관리직을 중심으로 공장을 돌릴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공장간 임금 격차가 발단= 이번 노조의 파업은 가공노조(청주ㆍ울산ㆍ온산ㆍ익산 공장)과 장치노조(여수ㆍ나주 생산공장)의 임금 격차에서 비롯됐다. `회사 내 두 임금` 구조 때문에 파업에 돌입한 노조원들이 `자신들은 서자`라고 불평할 정도였다.
노조측은 “임금차를 해소하기 위해 기본급을 13.1%, 수당 기본급화ㆍ하계 휴가비 신설 등을 통해 9.35% 추가인상하는 등 총 22.45%를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회사측 “더 이상 양보는 없다”= 회사측은 “가공노조 임금이 장치에 비해 20% 가량 낮은 사실이지만 이는 두 공장간 생산성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즉 지난해 1인당 매출액의 경우 가공 5억원, 장치 8억8,00만원, 경상이익도 각각 4,800만원, 6,900만원으로 나타나 이익에 따른 임금 차이는 당연하다는 논리다.
회사측은 또 지난 3년간 임금을 25%나 올려 동종업계 최고의 대우를 받는 상황에서 “해도해도 너무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LG화학 관계자는 “파업이 장기화하더라도 노조의 요구는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며 “아직 극적인 타결 가능성은 남아 있지만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준수하는 등 직장 폐쇄에 따른 손해는 전적으로 노조가 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손철기자 runiron@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