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 기술혁신기업 비율 독일의 절반"

해외특허도 부진… 국제적 기술역량 낮아

한국의 기술혁신기업 비중이 독일의 절반수준에머물고 있는 등 제조.서비스분야 기업들의 기술역량이 선진국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제 경쟁력과 관련되는 해외특허 출원은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한국 산업경쟁력 종합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2000∼2001년에 3천775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와 유럽연합 통계기구인 유로스타트(Eurostat)가 내놓은 2004년 통계보고서를 비교해 분석한 결과 이렇게 나왔다. 분석결과, 기술혁신에 성공한 제조업체의 비중은 한국이 33%로 독일의 60%에 비해 27%포인트나 낮았으며 핀란드 44%, 프랑스 41%, 스웨덴 40%, 이탈리아 38% 등에도 크게 못미쳤다. 기술혁신을 세분화하면,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을 동시에 추진해 성공한 기업의비중은 한국이 15% 수준에 그쳤다. 이에 비해 유럽국가들은 독일 25%, 핀란드 21%, 이탈리아 18%, 프랑스 17% 등으로 한국보다 높았으며 스웨덴만 14%로 한국보다 낮았다. 공정혁신에만 성공한 기업은 한국이 3%로 독일 12%, 이탈리아 11%, 스웨덴 9%,프랑스.핀란드 각 7% 등보다 훨씬 낮았다. 이와 함께 서비스업체 가운데 기술혁신에 성공한 기업 비중은 한국이 22%로 독일 49%, 스웨덴 40%, 핀란드 37%, 프랑스 29%, 이탈리아 24%에 비해 낮았다. KDI는 제조업 분야 대기업들의 기술혁신은 유럽국가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있다면서 서비스업 분야에서는 한국 대형업체들의 혁신역량이 미약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한국의 혁신활동 기업 가운데 특허를 출원한 기업의 비중은 제조업분야에서 한국이 21%로 독일 25%, 프랑스 31%, 이탈리아 15%, 핀란드 25%, 스웨덴 30% 등보다 그렇게 낮은 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제 경쟁력과 관련되는 해외특허를 출원한 한국기업의 비중은 제조업 4%, 서비스업 3%로 상당히 저조한 편이라고 KDI는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윤근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