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토)국민연금, 내년에 해외주식·대체투자 환헤지 안한다

국민연금이 기금의 변동성을 줄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유지하기 위해 내년에 해외 주식과 대체투자에 대한 환헤지를 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대체투자의 경우 자산별 특성에 따라 환헤지에 따른 손익이 달라 내년에 환헤지 전략을 재검토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6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제5차 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를 열어 자산군별 내년 환헤지 목표비율을 해외채권 100%, 해외 주식과 대체투자는 0%로 하기로 했다. 다만 시장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아래위로 10%포인트 범위에서 헤지 비율을 조정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박혜린 보건복지부 사무관은 "환헤지를 한다는 것은 환율을 특정 수준에 고정시킨다는 의미"라며 "해외 주식이 안 좋을 때는 해외 경기도 안 좋기 때문에 원·달러 가격도 상승해 자동으로 헤지가 될 수 있는데 해외 채권의 경우 환변동성보다 금리변동성이 훨씬 크게 때문에 전체 자산의 수익률을 안정적으로 가져가기 위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박 사무관은 "다만 대체투자의 경우 그동안 주식과 성격이 비슷하다고 분류했는데 최근 대체투자의 범위가 인프라, 해외 부동산 등으로 다양해지다 보니 내년에 개별 자산별로 환헤지를 다르게 가져가는 전략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10월 말 기준 국민연금의 자산은 421조7,000억원으로 집계돼 전년 말 대비 29조7,756억원 늘었다. 이 기간 수익률은 3.72%를 기록해 지난해 수익률 6.99%를 크게 밑돌았다. 자산군별 비중은 국내 주식 19.7%, 해외 주식 9.9%, 국내 채권 57.0%, 해외 채권 4.5%, 대체투자 8.9%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