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 자살률 OECD 1위

2005년 10만명당 24.7명

우리나라의 자살 사망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80년대 이후 자살 증가율이 OECD내 다른 국가들에 비해 급증했다. 22일 OECD 등에 따르면 지난 82년 기준으로 국내 자살 사망률은 10만명당 6.8명로 OECD 국가 가운데 멕시코(2.3명), 그리스(3.3명), 스페인(4.8명)에 이어 이탈리아(6.8명)와 함께 하위권을 형성했다. 헝가리(39.8명), 덴마크(26.7명), 오스트리아(25.1명)는 물론 일본(17.2명), 미국(11.9명) 등에 훨씬 낮은 자살 사망률이었다. 문제는 80년대 중반이후 2005년까지 국내 자살사망률이 연평균 5.01% 늘어나는 급증세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경제, 정치적 격변기를 거치면서 이에 적응하지 못한 사람들이 많아진 데 자살 증가원인을 찾고 있다. 같은 기간동안 덴마크(4.83%)와 멕시코(3.71%), 포르투갈(3.71%), 독일(3%)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의 자살 사망률 증가율은 2%대 이하로 떨어지고 호주, 노르웨이, 그리스 등은 오히려 줄어들었던 것을 감안하면 국내 자살 사망증가율이 상당히 심각함을 대변해준다. 결국 2005년을 기준으로 국내 자살 사망률은 10만명당 24.7명으로 OECD 국가 내에서 자살률 최고국이 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