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30세이상 산모 급증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산모 가운데 30세 이상 산모 비율이 63.9%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99년의 30.6%에 비해 2배 이상 많아진 것으로, 급속한 출산 고연령화를 반영하고 있다.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는 지난해 전국 2만7천명의 산모를 표본으로 `산모 연령별출생 구성비`를 분석한 결과 산모 연령이 급속히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21일 밝혔다. 이 같은 현상은 결혼을 늦게 하는 추세인데다 직장 여성이 늘어나 출산을 늦추고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협회측은 설명했다. 출산 연령대별로는 30~34세가 49.2%로 가장 많았고, 이어 25~29세(31.2%), 35~39세(12.6%), 20~24세(4.7%), 40~44세(2%), 19세 미만(0.2%), 45세 이상(0.1%) 등의 순이었다. 이 가운데 30~34세의 구성비의 경우 99년 25.4%에서 2001년 42.9%, 지난해 49.2%로 급증했고, 35~39세 연령대도 99년 4.5%에서 2001년 6.3%, 지난해 12.6%로 늘어났다. 이에 반해 25~29세 산모는 99년에 62.6%나 됐으나 2001년 44%, 지난해 31.2%로 급감했다. 협회가 또 여아 100명당 남아 출생성비를 조사한 결과 첫째아이는 102.7명, 둘째아이는 101.2명인데 비해 셋째아이 이상은 127.4명으로 나타나 `아들낳기 출산`이 여전한 것으로 지적됐다. 수유 조사에선 모유 수유율이 99년 10.8%에서 지난해 16%로, 모유ㆍ분유 혼합 수유율은 21.2%에서 30.2%로 각각 증가했으나, 분유 수유율은 67.1%에서 52.2%로 낮아졌다. <임웅재기자 jaelim@sed.co.kr>

관련기사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