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09 大入서 인기있는 자유전공학부

'미술+경영'등 융합 전공도 가능<br>장학금·기숙사·어학연수등 혜택도 다양<br>"새로운 시도… 소질·적성 맞춰 전공 선택을"


2009학년도 대입 수능시험 이후 대학별 학과 모집에서 ‘뜨거운 감자’는 단연 자유전공학부(과)라 할 수 있다.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과 약학전문대학원이 새로 만들어짐에 따라 일부 대학이 남는 정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신설한 자유전공학부는 기존의 학부제와 비슷하지만 전공 선택의 범위가 학부 내에 국한된 게 아니라 다양한 학문을 접할 수 있도록 선택영역을 넓힌 것이 차이점이다. 또 1개 전공이 아니라 2~3개의 전공을 선택할 수 있고 기존에 없던 융합전공, 예를 들어 미술과 경영, 전자공학과 음악 같은 학과도 선택이 가능하다. 2009학년도에 자유전공학부가 개설된 대학은 20여개 정도. 학문 간 전공의 벽을 넘어 다양한 지식을 접해야 한다는 뜻에 따라 자유전공학부를 신설하는 대학 수는 앞으로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수시 2-2 지원율에서도 자유전공학과에 대한 수험생들의 높은 관심을 알 수 있다. 서울대 수시2 특기자전형 자유전공학부는 인문계열 11.9대1로 평균 경쟁률(6.94대1)보다 월등히 높았다. 연세대 일반 우수자 전형 자유전공에서도 55.20대1의 경쟁률로 일반 우수자 전형의 전체 평균 경쟁률인 48.81대1보다 높게 나타났고 고려대도 43.63대1의 경쟁률을 보여 일반전형 전체 평균 경쟁률인 30.92대1보다도 높은 지원율을 보였다. 이 외에도 성균관대 51.17대1, 경희대 24.68대1, 중앙대 38.8대1로 평균 경쟁률보다 높은 지원율을 보였다. 일부 대학의 경우에는 자유전공학부의 선호도가 기존의 인기학부였던 경영학부를 뛰어넘기도 했다. 2009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자유전공학과의 합격선은 경영학과보다 약간 아래로 예상되며 일부 대학의 경우 경영학과보다 더 높게 예측되기도 한다. 자유전공학부(과)는 전공 선택이 자유롭다는 장점 외에도 장학금, 기숙사 제공, 어학연수 등 학교 측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지원을 받게 돼 있어 학생과 부모님의 관심을 끌어 모으고 있다. 이처럼 대학들은 자유전공학부 도입으로 학문 융합에 맞춰 학생들에게 다양한 수업 과정과 장학금 등을 제공하고 있지만 일부에서는 로스쿨 대비반이라는 우려의 눈길도 존재하고 있다. 실제 일부 대학은 자유전공학과가 고시나 로스쿨 진학에 유리하다는 점을 홍보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수험생들이 선호하는 의학ㆍ사범ㆍ간호 계열 등은 자유전공영역에 포함돼 있지 않고 입학시 학부(과)가 정해지지 않아 선후배와의 유대감이 부족할 것이라는 점도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윤동수 진학사 본부장은 “자유전공학부에 대한 두 가지 시선, 즉 ‘프리 로스쿨이냐, 설립취지에 맞게 학문 간의 융합을 목적으로 하는 21세기형 학문 트렌드냐’에 대해 지금 당장 논의하는 것은 학과 교육과정이 명확히 공개되지 않은 시점에서 판단하기엔 적절하지 않다”면서도 “분명한 것은 자유전공학부가 학문적으로는 새로운 시도이므로 입학 후 자신의 전공을 정할 때 본인의 소질과 적성에 맞게 하지 못한다면 학업에 실패할 확률이 높아 전공선택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