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청소인력 확대ㆍ농촌지역 쓰레기 집하장 1,000곳 설치

경기도, 쓰레기 줄이기 위한 5개년 계획발표

경기도가 생활 쓰레기 줄이기 운동에 나섰다.

도는 이를 위해 청소인력 확충, 농촌지역 쓰레기 집하장 설치, 무단투기 신고포상금제 확대 등을 실시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9일 수원시 영통구 하동 소재 수원시 재활용선별장에서 김문수 경기도지사 주재로 찾아가는 실국장 회의를 갖고 오는 2017년까지 쓰레기 줄이기 목표를 담은 5개년 계획 ‘쓰레기와의 사랑과 전쟁’을 발표했다.

도는 우선 자원순환 100%를 달성하기 위해 시ㆍ군별 부단체장 중심의 T/F팀을 구성 쓰레기 문제에 대한 기초자치단체의 참여를 확대하는 한편 도민 1인당 쓰레기 100g 줄이기 운동을 전개해 나가기로 했다.

도는 환경정화의 실질적 개선 효과를 높이기 위해 현재 1㎢당 0.75명 수준인 청소인력을 오는 2017년까지 5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 농촌지역 재활용품 등을 분리 배출 할 수 있는 쓰레기 집하장을 오는 2017년까지 1,000개소를 설치하기로 했으며, 올해 안으로 50개소를 시범 설치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도는 올해 화성시 41개소에서 시범사업을 벌였던 도로입양사업을 2017년까지 1,000개로 확대하고, 도내 13개 마을에서 추진했던 초록마을대학을 2017년까지 100개로 늘리기로 했다. 도로입양사업은 일정구간의 도로를 민간단체에서 맡아 정기적으로 관리하는 사업이며, 초록마을대학은 마을 주민스스로가 학습을 통해 마을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자립형 환정정화교육프로그램이다.

도는 무단투기근절을 위해 토지나 건물을 소유하거나 관리하는 사람이 스스로 청결을 유지하는 내용의 청결유지 책임제 조례 제정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특히 쓰레기 무단투기 신고포상금제가 없는 고양과 안양ㆍ의정부 등 도내 10개 시·군에 관련 조례를 제정하도록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과태료의 10% 수준을 포상금으로 지급하는 현행 포상수준을 20%까지 상향하고 무단투기자에 대한 과태료 역시 최소 3만원에서 5만원으로 상향하도록 환경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차량용 블랙박스를 활용한 무단투기 근절 대책으로 올해 처음 출범한 ‘도로 환경 명예감시단’은 택시 기사 외에도 운수업 종사자, 참여를 원하는 시민으로 참가대상을 확대해 오는 2017년까지 현재 72대에서 6,000대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밖에 도는 쓰레기 줄이기 운동에 적극 참여한 시ㆍ군을 대상으로 평가제도를 도입,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다.

경기도의 연간 쓰레기 처리예산은 5,735억 원이다. 이 가운데 25%에 해당하는 1,446억 원이 무단투기 쓰레기 수거와 처리에 소요된다. 도민 1인당 하루 100g만 쓰레기를 줄일 경우 연간 쓰레기 처리비 1,185억 원이 절감되는 만큼 쓰레기 줄이기 운동이 필요하다는 것이 경기도의 입장이다.

박신환 도 환경국장은 “오는 2018년은 경기도가 역사에 등장한 지 천 년이 되는 해로 천년의 묵을 때를 벗자는 의미에서 5개년 계획을 수립하게 됐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