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저축은행 ‘우량’40개,‘보통’30개

전체 85개 성적표 확정“하반기 구조조정 마무리”…자본확충 지원 후보 24개

당국이 저축은행에 대한 검사ㆍ감독 결과를 토대로 개별 저축은행들의 건전성 분류를 잠정 확정했다. 이에 따라 올해 하반기 구조조정 결과 40여개 저축은행이 ‘우량회사’로 파악됐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경영진단을 받은 85개 저축은행의 경영지표를 분석, 이 같은 결론을 내린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감독당국에 따르면 우량한 곳으로 볼 수 있는 저축은행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10%를 넘는 곳으로, 40여곳이 해당된다. 특히 스타(36.00%), 한신(23.99%), 부림(22.74%), 오성(21.74%) 등 몇몇 저축은행은 BIS 비율이 20%를 웃돈다. BIS 비율이 감독기준인 5%를 넘었지만 10%에 미치지 못하는 저축은행은 약 30개다. 이들 저축은행은 현재로선 안전하지만 자본확충 등 경영개선 노력도 요구된다. 이날까지 발표된 45개 저축은행의 공시 등에 따르면 세종(7.58%), 스마트(8.32%), MS(9.07%), 진흥(9.11%), 인천(9.17%), 솔로몬(9.20%), 모아(9.24%), HK(9.26%), 참(9.37%), 금화(9.59%), 강원(9.83%), 구미(9.87%)의 BIS 비율은 5∼10% 사이다. 이 가운데 24개 저축은행은 공적자금에 해당하는 금융안정기금을 신청할 수 있다. 금융안정기금은 BIS 비율이 5∼10%인 저축은행의 자본 확충을 위해 지원된다. 금융위 관계자는 “적기시정조치(부실우려 금융회사의 정상화 조치)가 유예된 저축은행은 경영개선계획을 이행할 때까지 금융안정기금도 지원받지 못한다”고 밝혔다. 다만 BIS 비율이 5%에 못 미치거나 부채가 자산을 초과해 적기시정조치가 유예된 6개 저축은행도 대부분 증자 등 자구노력을 통해 건전성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저축은행 가운데 상장사와 후순위채 발행사 등은 이날까지 공시를 마쳐야 하며, 나머지 저축은행은 오는 30일까지 실적을 공시해야 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달 말 공시를 두고 일각에서 우려한 것과 달리 하반기 저축은행 구조조정이 무난하게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며 “회계법인이 새로 수익금을 찾아낸 일부 저축은행은 경영진단 때보다 BIS 비율이 다소 상승했다”고 말했다. 이 밖에 서울, 신민 등 자본잠식 상태로 나타난 저축은행은 모기업(웅진, 삼환)의 증자가 이뤄져 아무런 문제가 없다. 예쓰, 예나래 등 예금보험공사가 인수한 가교저축은행 역시 BIS 비율에 영향받지 않고 정상 영업한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