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수(高晟洙)금융연구원 박사= 은행의 변화는 정부의 인위적인 구조조정과 이후 은행 자체적으로 생존본능에 의해 자발적으로 진행된 것 등 크게 두가지 방법에 의해 진행됐다. 초창기 구조조정이 부실은행의 정리를 위한 합병과 퇴출 등 하드웨어 부분에 집중됐다면, 올초부터 이루어진 2단계 변화는 의식과 지배구조 등 소프트웨어 부분에서 주로 일어났다. 은행의 변화는 그러나 중도에서 한계에 부딪친 것도 사실이다. 기업 부문의 부실처리 과정에서 은행이 다시 한번 부실의 굴레로 떨어진 것이다. 필연적인 것이기는 하지만, 기업구조조정을 위해 은행은 다시한번 2차 구조조정을 목전에 두게 됐고 이는 다시한번 은행에 변화를 몰고 올 것으로 보인다.현 시점에서 은행에 주어진 자발적 변화의 핵심은 부실채권의 효율적 처리에 모아질 것이다. 이는 단순히 성업공사 등 정부에 의한 것보다는 부실처리회사 등 은행 스스로의 선진기법를 병행 추진할때 급격한 충격없이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박현우(朴鉉雨) ㈜한화 경영지원실 부장= 엄청난 변화를 겪었다. 가장 큰 변화는 위험관리에 대한 인식과 효율적인 자산운용 노력이다. 담보와 보증 위주의 기존 대출관행도 자취를 감춰가고 있다. 신용이 만사의 기본이 되는 선진 금융기법이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은행은 이제 「금융기관」이란 딱지를 벗고 「기업」이 되어 가고 있다. 주주와 고객을 위한 경영마인드가 확립되고 있으며 효율과 합리를 중시하는 금융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 고객들도 이제는 금리와 지리적 접근성 위주가 아니라 안정성과 서비스 품질에서 탁월한 은행으로 거래처를 옮기는 추세다.
◇S산업 金모사장= 이제는 중소기업도 은행에 큰소리를 칠 수 있게 됐다는 얘기를 주위에서 많이 접한다. 하지만 이는 극히 일부에 해당하는 것일 뿐 대다수 중소기업들은 과거와 상황이 똑같다. 지금도 은행들이 제일 관심있게 보는 부분은 부채비율 등 현재 상황이다. 언론에서는 은행들이 미래상환능력(FLC)을 고려한다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 FLC라는 것이 회사의 미래를 보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현재만 보고 판단하는 것은 옳지 않다. 은행의 속성상 불확실한 미래를 보고 돈을 꿔주는 것은 무리인 것같다.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도만 도입해서는 아무 쓸모가 없다.
◇함준호(咸駿浩)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 변화는 지금부터다. 현재 은행이 가장 시급하게 풀어야 할 문제는 자기자본을 확충하는 것이다. 특히 정부의 공적자금 지원을 받은 은행들은 부실에 대한 책임문제나 금융당국의 입김에서 벗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자율경영이 힘들다. 하드웨어적인 구조조정 문제가 아직 끝나지 않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적인 구조조정에 중점을 둬야 할 상황은 아니다.
금융부SBCHOI@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