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럼즈펠드 국방장관 경질] 이라크 조기 철군 가능성

전시작전권 환수등 한반도 국방정책등 변화 예고

[럼즈펠드 국방장관 경질] 이라크 조기 철군 가능성 전시작전권 환수등 한반도 국방정책등 변화 예고 김정곤 기자 mckids@sed.co.kr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임기 말까지 함께할 것이라고 공언했던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의 전격 경질은 미국의 대북한 및 대이라크 정책에 '변화의 바람'이 불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럼즈펠드는 지난 2001년부터 6년간 국방 장관으로 재임하며 부시 대통령과 함께 이라크 전쟁, 아프카니스탄 전쟁 등을 기획하고 주도해왔지만 이번 선거에서 핵심이슈로 부각된 이라크 전쟁의 책임자로 지목되면서 낙마했다. 부시 대통령이 럼즈펠드의 사임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에서 "미 국방부에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한 때"라고 밝힌 것은 이라크전과 대북 정책 등 대외정책 전반에 적잖은 변화를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미국의 이라크 정책이 제대로 효과를 내지도 못하고 지체돼왔다"며 이라크 정책 실패를 공식 시인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럼즈펠드의 사임으로 이라크 주둔 미군의 조기 철군 가능성 등 미국의 이라크 정책에 일정 부분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 그가 주도해온 주한 미군 철수 및 재배치, 전시작전권 환수, 북핵 문제 대응 등 미국의 대한반도 국방정책에도 변화가 뒤따를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일각에서는 럼즈펠드 장관과 함께 리처드 롤리스 국방부 동아태 부차관 등 국방부 내 대한반도 강경책을 주도했던 '매파'들이 동시 퇴장할 가능성을 거론하며 한미, 북미관계에 상당한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그러나 부시 행정부의 대외정책이 당장 근본적인 변화를 할 것으로 보는 시각은 많지 않다. 부시 대통령이 강경파의 대부격인 딕 체니 부통령에 대한 신임을 계속 유지했고 이라크 정책에 대한 실책을 간접 시인하면서도 "우리는 패배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섣부른 판단을 경계한 점을 감안한 것이다. 미 하원 국제관계위원장으로 유력시되는 민주당 톰 랜토스 의원은 "미국의 외교정책에 갑작스러운 변화는 없을 것이며 민주, 공화 양당은 기본적으로 같은 목표들을 갖고 있다"고 강조해 이 같은 분석을 뒷받침했다. 입력시간 : 2006/11/09 17:50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