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전·광주·대구 R&D특구 지정 삼각공조

R&D 특구 지정을 위해 대구와 광주가 상호 협력을 다짐하고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대구시와 광주시는 최근 광주테크노파크서 열린 R&D 특구 자문위원회에서 대전과 광주, 대구를 연결하는 삼각 테크노벨트를 구축하는 R&D 특구 지정을 위해 서로 공조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대구와 광주의 협력체계 구축은 그 동안 지방자치단체들이 갖고 있던 폐쇄적 성향에 비춰보면 이례적인 일로 평가된다.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사활을 걸고 있는 두 도시의 이 같은 움직임은 두 가지 이유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역간 과학기술 협력이라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동시에 R&D 특구 지정이 무산될 경우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특히 대구시가 국토개발연구원에 의뢰한 ‘내륙지방거점도시 삼각벨트 구축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대구와 광주는 공공 연구기관이나 전문연구시설 등 R&D 혁신 환경을 공급할 필요성이 큰 만큼 지역통합적 균형차원에서 R&D 특구로 지정되어야 할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는 점에서 두 도시의 행보에 더욱 무게가 실리고 있다. 대구 출신의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소속의 국회의원들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권에서도 R&D 특구 지정을 대구와 광주로 확대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해봉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장은 “대덕만 R&D 특구로 지정될 경우 다른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능력은 상대적으로 쇠퇴할 것”이라며 “지역균형발전 측면에서 볼 때 과기부가 추진하고 있는 특구법을 바꿔 대전, 대구, 광주를 연결하는 삼각밸트형 R&D 특구 모델로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나라당도 최근 정부의 ‘R&D 특구법안’과 관련해 대구 테크노폴리스와 광주 첨단과학단지도 R&D 특구로 지정할 수 있도록 독자법안을 발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한구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은 “연구개발 투자의 중앙 집중현상을 해소하고 권역별 균형발전 및 연구개발의 산업화 등을 위해선 대구와 광주의 특구 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는 대구와 광주의 R&D 특구 지정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이다. 오명 과기부 장관은 “광주는 광주과기원을 중심으로 대구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을 중심으로 발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라며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결말이 어떻게 나올지는 올해 정기국회에 달렸다. 국회 법안 심사과정에서 R&D 특구법 제정을 둘러싼 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구와 광주는 숨을 죽이고 여의도를 쳐다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