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수돗물 정수처리기준 내년 시행

수돗물의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정수처리 기술기준과 바이러스 표준분석 방법이 내년부터 도입된다.국립환경연구원은 21일 수돗물 수질관리 강화를 위해 대한바이러스학회 등에 의뢰한 용역결과를 발표하고 향후 지자체와 시민단체, 학계 등의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내년 2월께 제도화한 뒤 하반기부터 본격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가 차원에서 정수처리 기술기준과 바이러스 표준분석 방법 등이 도입되는 것은 우리나라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다. 시안에 따르면 바이러스 검사 이전 단계에서 바이러스의 99.99%와 원생동물인지아디아의 99.9%를 제거할 수 있도록 소독과 탁도에 대한 기준을 강화하고 기준을초과하면 시설개선과 주민공고 등 다양한 조치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는 하루 취수량 5천t 이상의 정수장은 하루 6회 이상, 5천t미만의 정수장은 하루 2회 이상 정수지의 물이 아닌 여과지의 혼합수와 정수지의 유출수를 채취해 탁도와 소독기준 등을 측정해야 한다. 현재 시행중인 정수처리 기준은 정수장의 시설용량에 상관없이 하루 1회씩 정수지의 물을 채취해 탁도와 소독기준을 측정하도록 돼 있다. 시안은 또 바이러스 분석방법의 구체적 절차가 확립돼 감염성 여부를 확인할 수있을 뿐만 아니라 위해성 평가 등에 활용이 가능한 `총배양성 바이러스 분석법'(총세포배양법)을 수돗물 바이러스의 표준분석 방법으로 채택했다. 아울러 분석기관의 지정과 지정된 분석기관의 관리 및 분석자료의 검증이 공정하고 전문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국립환경연구원에 전문가 13명을 포함한 15명의평가위원회를 설치, 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이와 관련, 국립환경연구원은 "국내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총세포배양 유전자검색 조합법'(ICC-PCR)도 몇가지 장점이 있으나 결정적으로 표준화와 정량화가 어려워 아직은 국가 차원에서 도입할 단계가 아니라는 결론이 났다"고 말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수돗물 바이러스 검사는 `사후약방문'에 불과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며 "따라서 검사 이전 단계에서 바이러스를 완벽하게 제거하도록 정수처리 기준이 도입되는 것이 훨씬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규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