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안철수 신드롬 태풍일까 거품일까

"새로운 정치열망 분출 계기" "아마추어리즘 경계" 전망 엇갈려<br>친박 "일단 지켜보자"<br>민주 "정당정치의 위기"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부상은 내년 대선판도까지 흔들 '나비효과'로 현실화할까. '안철수 신드롬'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대세론까지 위협할 것이라는 전망이 고개를 들고 있다. 안 원장은 6일 기자회견을 통해 서울시장 보궐선거 후보를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에게 양보했다. 그러나 안 원장은 앞으로 대선후보군에 꾸준히 분류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한나라당에 악재라 할 수 있다. 최근의 안철수 신드롬이 대선판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시사평론가 이종훈 박사는 "무상급식 주민투표에서 스스로를 던지지 않아 지지의 한 축이 무너진 박 전 대표 입장에서는 또 다른 악재를 만난 꼴"이라며 "미래지향적 인물들이 나타난 이상 박 전 대표와 같은 과거지향적 인물을 다시 뽑을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안철수 신드롬의 한계를 지적하는 시각도 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중요한 것은 안 원장이 아닌 다른 신선한 사람이 나와도 박근혜 대세론은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또한 며칠간 안 원장이 보여준 손발 안 맞는 모습이 마이너스가 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 박사는 "첫 단추를 잘못 꿰었다"며 "(안 원장이) 대선후보군으로 지속적으로 거론될 텐데 이런 모습은 계속 좋지 않게 거론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 교수도 "(시장에 당선됐다면) 안철수의 아마추어리즘에 피로를 느낄 것이고 그러면 비슷한 이미지인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친박근혜계 등 한나라당은 일단 안 원장에 대한 반응을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친박계인 유기준 의원은 "일단 검증을 해봐야 하지 않나 한다"며 유보적 반응을 보였다. 역시 친박계인 구상찬 의원은 "실패를 모르던 사람이 혹독한 검증과 같은 어려움에 봉착했을 때 헤쳐나오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전혀 영향을 끼칠 수 없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진영 의원은 "상대방을 공격하면서 오르는 방식은 전형적 과거 정치의 모습"이라며 "안 원장에 대한 역풍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철수 신드롬에 대한 민주당의 심기는 복잡하다. 민주당은 공식적으로는 야권의 외연을 확대한다는 점에서 환영했지만 "정당정치의 위기다. 민주당의 존재가 사라지면 위기(정동영 최고위원)"라고 밝히는 등 위기의식이 강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