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말말말] "잘못을 범했지만 우리의 이웃으로 받아들여야."外

▲"잘못을 범했지만 우리의 이웃으로 받아들여야."-한인섭 서울대 교수, 범죄자를 악의 화신이나 사이코패스 등으로 낙인을 찍으면 그 사람의 인격을 긍정적으로 변모시키지 못한다면서.


▲"고된 일을 이겨내야 결실이 있다."-혜민스님, 햄프셔대 교수, 좋아하는 일이니까 늘 좋을 것이라는 기대는 잘못된 생각이라면서. 어떤 일이든 어려운 과정을 거쳐야만 성과를 낼 수 있다고.

관련기사



▲"세상은 '하찮은 다수(多數)'보다 '소중한 소수(少數)'가 움직인다!"-유영만 한양대 교수, 다수는 이전 사례를 벤치마킹해서 교훈을 얻지만 소수는 전례나 관행을 답습하지 않고 새로운 사례를 만들어 세상을 바꿔놓는다면서.

▲"외국인이 보는 한반도는 여전히 분단국가의 이미지가 강력하다."-김근식 경남대 정외과 교수, 최근 극동문제연구소를 찾은 EU언론인들이 북한 상황과 통일 전망에 유독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면서.

▲"3력이 국가적 사명이다."-이장우 한국소셜네트워크협회장, 한일관계에서 한국이 일본보다 경제력ㆍ문화력ㆍ군사력에서 우위에 있어야 문제가 쉽게 풀린다면서.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