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北, 7월 하루평균 200g 식량배급…4월의 절반”

자료사진=北 장마당

북한 당국이 지난달 성인 주민 한 명에게 하루 200g의 식량을 분배했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17일 나나 스카우 세계식량계획(WFP) 북한담당 대변인을 인용해 보도했다. 지난 4월 400g이었던 북한의 하루 식량 배급량은 5월 190g, 6월 150g으로 계속 줄었다가 지난달 약간 늘었다고 VOA는 설명했다. 스카우 대변인은 “7월 배급량 수치는 북한 당국이 제공한 것”이라고 전하고 “WFP는 북한에서 공공배급제를 통해 분배되는 식량이 소량에 그치는 점에 계속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루 200g의 식량은 육체노동을 하는 성인의 평균 식량 필요량 700g의 3분의 1에도 못미친다. 스카우 대변인은 “최근 몇달간 북한의 공공배급은 수입곡물로 유지됐다. 특히 중국으로부터 10만t의 곡물이 수입된 것으로 보고됐다”고 말했다. 스카우 대변인은 또 WFP가 북한에서 보유하고 있는 식량은 식품공장 12곳에 분산된 3,343t과 가공처리된 영양강화식품 280t으로 최저 수준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 북한 정권의 식량배급 우선대상자는 정권유지에 필요한 계층이어서 국제사회가 식량을 지원해도 취약계층에까지 혜택이 가기 어렵다는 주장도 나왔다. 세종연구소에 따르면 일본 언론사인 아시아프레스의 공동 대표인 이시마루 지로(石丸次郞)씨는 최근 이 연구소에서 열린 정책토론회에 참석, 북한 정권의 우선적인 식량배급 대상은 “정권유지에 필요한 군대, 경찰, 보위부(정보기관), 당과 행정기관, 지식인, 군수산업 및 일부 우량탄광ㆍ광산 종사자 등과 평양시민 일부”라며 “국제사회가 생각하는 영유아 등 취약계층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김정일 정권이 국제사회에 식량원조를 호소하는 것은 전체인구의 20%에 불과한 우선배급대상 계층에 줄 식량도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