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北 개성공단 잠정중단… 압박 수위 높이기 메시지?

정부 "예단않고 예의주시"

북한의 대남정책을 총괄하는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겸 대남 담당 비서가 8일 개성공단을 전격 방문해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북한이 개성공단 사태를 남측 탓으로 돌리고 있지만 이례적으로 김 비서가 개성공단을 직접 찾았다는 점에서 사태 개선을 위한 북측의 메시지 전달로 해석돼 조만간 긍정적인 신호가 나올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무엇보다 북한이 남북관계를 전시 상황이라고 선언하고 그 연장선으로 개성공단 통행제한 조처를 하는 상황에서 북의 대남정책을 담당하는 최고위급 인사가 직접 개성을 찾았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특히 군 인사가 아닌 고위 인사가 개성공단을 방문한 것 자체가 공단 '폐쇄'보다는 '유지' 쪽에 무게가 실린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따라서 이번 김 비서의 방문은 개성공단의 군사적 측면보다는 남북관계 측면을 중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현재 한반도 정세로 볼 때 오히려 개성공단 폐쇄 등의 최종 조치를 염두에 두고 김 비서가 공단을 찾았을 수도 있다는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관련기사



실제 조선중앙통신은 김 비서의 개성공단 방문 소식을 전하면서 "남조선 호전광들의 북침전쟁 도발책동이 극도에 이르고 있는 조건에서 경각성을 고도로 높이며 긴장되고 동원된 태세를 철저히 견지할 것을 강조했다"고 밝혀 남측을 압박했다.

정부는 일단 북측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하며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그에 따른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김 비서의 개성공단 방문이 어떤 성격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일단 예의 주시하며 대응하겠다"면서 "일단 입주기업들이 가동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물자를 전달할 수 있도록 실무접촉 등을 제안해보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