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전국 시·도 교육청 평가 1위 대전·충남



진보교육감 6개청 하위권...특별교부금 차등 지원 교육과학기술부가 전국 16개 시ㆍ도 교육청을 대상으로 실시한 평가에서 대전ㆍ충남이 1위를 차지한 반면 서울ㆍ경기는 꼴찌를 기록했다. 진보 성향 교육감이 있는 6개 지역이 대부분 성과가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6개 시ㆍ도 교육청의 지난해 교육성과와 교육정책, 고객만족도, 청렴도 등을 평가한 결과 시 지역은 대전, 도 지역은 충남교육청이 1위를 차지했다고 22일 발표했다. 서울과 경기교육청은 시ㆍ도 지역에서 각각 최하위인 7위와 9위를 기록했다. 시ㆍ도 교육청 평가는 교육 분권화ㆍ자율화에 따라 교육청의 책무성을 높이고 선의의 경쟁을 통해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1996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대전교육청은 고객만족도, 방과후학교 활성화, 교원연수 참여율 등에서, 충남ㆍ경북교육청은 기초학력미달비율, 사교육비 절감 성과, 안전한 학교환경 조성 등에서 강세를 보였다. 반면 진보 성향 교육감이 수장으로 있는 서울ㆍ광주ㆍ경기ㆍ강원ㆍ전남ㆍ전북은 하위권에 머물렀다. 시 지역에서 광주가 공동 4위를 차지했을 뿐 서울은 7위, 전남ㆍ강원ㆍ전북ㆍ경기는 도 지역에서 6∼9위에 머물렀다. 특히 서울과 경기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꼴찌를 기록했다. 서울은 학업성취도평가 기초학력 미달비율, 특성화고 취업률, 교원연수 참여율, 교육과정 선진화, 청렴도 등 5개 항목에서 최하위였고, 경기는 학업중단 비율, 교육과정 선진화, 교원연수 참여율, 방과후학교 활성화, 외부재원 유치, 고객만족도 등 6개 항목에서 가장 점수가 낮았다. 교과부의 한 관계자는 “서울과 경기의 경우 지역이 넓고 학생 수가 많아 기본 지표를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교과부는 이번 결과에 따라 올 하반기에 약 800억~1,000억원의 특별교부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지난해에는 최소 39억원에서 최고 109억원까지 차등 지원했는데, 올해는 차등 지원폭을 더 넓힐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