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서울포럼 2014 D-5] 성장엔진 식어가는 한국호… 기술혁신 선도자로 나서라

선진국 - 中 사이에 낀 한국 '빠른 추격자' 전략 이젠 한계

모방 벗고 스스로 기술개발… 새로운 시장 적극 창출해야


한국 경제의 성장엔진이 식어가고 있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2013년 기업경영분석 자료에 따르면 조사 대상인 국내 기업 1,710곳의 지난해 매출액영업이익률은 4.6%로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내 기업들이 1,000원어치를 팔아 손에 쥐는 돈이 46원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나마 수익성이 양호한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두 기업을 빼면 국내 기업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3.4%로 더 떨어진다. 전체 조사 기업의 매출액 증가율 역시 2012년 4.9%에서 지난해 0.7%로 크게 둔화됐다. 국내 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동반 하락하는 추세다.


이 같은 국내 기업들의 성장 및 수익성 둔화는 글로벌 경기침체 지속과 내수부진 등의 요인도 있지만 국내 주력산업의 성장 정체현상에 근본적 원인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실제로 우리 기업들이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한 전자·자동차·철강·조선·화학 등 주력산업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과거와 같은 가파른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워진 실정이다.

결국 이 같은 성장 정체 국면에서 벗어나 한국 경제가 다시 한번 도약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애플의 '아이폰'이 증명했듯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통해 신시장을 창출하고 새로운 '블루오션'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유환익 전국경제인연합회 산업본부장은 "우리 경제의 주축인 제조업 분야에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혁신 외에 달리 방법이 없다"며 "또 새롭게 육성하려는 서비스산업도 정보기술(IT)과 바이오기술 등을 접목해 부가가치를 높이는 방안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서울포럼 2014'는 한국 경제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는 기술혁신이 절실하다고 보고 기술혁신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기술혁신을 위한 실천 방안 등을 모색해볼 예정이다.

기술 측면에서 볼 때 한국 경제와 기업은 아직 갈 길이 멀다. 미국·유럽·일본 등 기술 선진국과의 거리를 좁히기도 바쁜데 중국 등 신흥국은 막대한 자본과 국가적 지원을 등에 업고 우리를 맹추격하고 있다.

실제로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120개 국가전략기술의 수준은 2012년 기준으로 미국과 일본에 각각 4.7년, 3.1년 뒤진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는 1.9년 앞서 있지만 격차는 빠르게 줄어드는 추세다. 전체 기술 수준도 미국을 100%로 봤을 때 유럽연합(EU)이 94.5%, 일본 93.4%, 우리나라 77.8%, 중국 67.0% 등의 순이었다. 한국 기업들이 치열한 글로벌 기술경쟁에서 선진국과 중국 사이에 낀 '샌드위치' 신세에 있음을 보여준다.

그동안 우리 기업들의 고속성장을 가능하게 했던 '빠른 추격자' 전략이 한계에 다다랐다는 점도 풀어야 할 과제다. 1980년대 이후 우리 기업들은 선진국 기업의 기술을 모방하고 전사적 역량을 투입해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었다. 하지만 현재 국내 기업들이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한 만큼 더 이상 기술 측면에서 벤치마킹할 상대를 찾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국내 기업 스스로 기술혁신을 통해 새 시장을 만들어가는 '선도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기술개발 주기가 짧아지고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술혁신의 중요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일본의 소니와 스웨덴의 노키아 등 한때 전 세계 IT 시장을 주름잡던 글로벌 강자들이 기술혁신에 소홀했다가 소비자의 기억에서 사라지며 몰락한 사례는 많은 점을 시사한다. 기술혁신이 국가와 경제의 성장을 넘어 '생존'을 좌우하는 핵심적 요소로 자리잡았다는 것이다.

이에 '서울포럼 2014'는 기술혁신을 통해 한국 경제의 '퀀텀점프(대도약)'를 이뤄내고 미래지향적 경제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 데 초점을 맞춘다.

아울러 '서울포럼 2014'는 기술 분야 국내외 석학과 기업인 등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혁신과 창조경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고 해법을 모색할 계획이다.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