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신규 사업체 70% 5년내 문 닫아

통계청, 업종별 현황 분석<br>출판·영상부문 생존율 최악


우리나라의 신규 사업체 10곳 중 7곳이 5년 안에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 부문의 일을 하는 사업체 생존율은 출판ㆍ영상 쪽 사업체 생존율의 두 배를 넘었다. 통계청이 21일 내놓은 '2004~2009 사업체 생성ㆍ소멸 현황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4년 창업한 사업체를 기준으로 3년 뒤 생존율은 45.32%, 5년 뒤 생존율은 33.42%를 보였다. 신생업체의 55% 안팎은 3년을 넘기지 못했고 10곳 중 7곳은 5년 안에 문을 닫았다는 의미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공공행정ㆍ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분야의 5년 생존율이 72.11%로 가장 높았고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이 60.66%로 뒤를 이었다. 이들 업종은 주로 정부 일감을 받아 공공서비스를 하는 분야로 사실상의 '준공공사업'이다. 반면 출판ㆍ영상은 최근 정보기술(IT) 분야의 발달 등으로 부침이 심했고 건설업의 경우 금융위기에 따른 경기침체로 타 업종에 비해 생존 자체가 대단히 어려웠다. 신규 사업체의 절반은 자영업자들이 몰려 있는 도소매ㆍ음식숙박업이 차지했다. 도소매업은 신규 사업체 수의 25.15%(14만9,730개), 숙박ㆍ음식점업은 20.88%(12만4,299개)를 나타냈다. 우리나라에서 2004~2009년에는 사업체가 연평균 1만7,835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007년 총 3만8,663개가 순증감해 조사기간 중 가장 크게 늘어났던 데 반해 2008년에는 1만1,634개 업체가 순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