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워크아웃수술 또 '용두사미'

청산결정 (주)대우등 2곳불과… 부실기업 조기정리 '공염불'워크아웃 수술작업이 또다시 '이벤트 쇼'로 막을 내렸다. 부실기업을 조기에 정리, 시장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겠다던 감독당국의 구호는 기업별 기존 방향을 재확인하는 말잔치로 끝났다. ◆ 핵심기업, 회사분할과 사업매각으로 가닥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은 최근 "워크아웃 기업 중 법정관리로 전환하는 곳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금감원이 31일 밝힌 기업별 추진방안을 보면 청산대상은 기업분할된 ㈜대우와 대우중공업의 잔존법인뿐이었다. 대우통신과 고합은 예상대로 불량 사업부를 분리해 '배드 컴퍼니'를 만드는 '회사분할' 방식을 선택했다. 분류작업의 핵심이던 새한과 동국무역ㆍ신호제지 등은 비핵심사업이나 공장 등을 떼어내 매각하는 '사업부 매각' 방식으로 가닥을 잡았다. 기업구조조정투자회사(CRV)에는 종전 다이너스카드ㆍ오리온전기ㆍ신우 외에 대우캐피탈이 추가됐다. 이밖에 관심을 모았던 갑을은 이미 예정된 출자전환 부분을 조기 이행하는 방법으로 결정됐다. 분류 초만 해도 생존이 불투명했지만 상반기 영업이익을 기록함에 따라 회생판정이 내려진 것이다. 새한미디어와 매각을 추진할 예정이었던 미주제강 등도 기존 채무조정 방안을 유지하기로 했다. 금융시장의 관심을 모았던 기업들 대부분에 '면죄부 판정'이 난 것이다. ◆ 퇴출보다는 '조기졸업'에 초점 이번 분류에서 1~2개에 불과할 것으로 보였던 자율추진 또는 조기졸업 기업이 대우 계열사들의 영업호전으로 크게 늘어났다. 조기졸업으로 분류된 대우조선과 대우종합기계, '자율추진'으로 분류된 벽산건설ㆍ동화면세점ㆍ신원ㆍ삼표산업ㆍ대현 등은 이미 방향이 예정됐던 곳. 자율추진업체는 채권단이 파견한 경영관리단이 철수, 회사의 자율경영이 보장된다. 이번에는 대우건설과 대우인터내셔널ㆍ남광토건ㆍ신동방ㆍ경남기업 등이 추가로 자율추진 대상에 포함됐다. 이에 따라 자율추진을 포함한 조기졸업 기업은 48개사에 달해 전체 워크아웃 적용대상 기업(83개사)의 57.8%에 달하게 됐다. ◆ 사라지지 않은 워크아웃발 시장불안 금감원은 이번 분류에 따라 회사별 정상화 작업을 벌이되 각기 정상화 작업이 잘못되면 조기 정리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 회사분할 기업이 실패하면 법정관리로 전환하고 ▲ CRV추진기업이 실패하면 회사 자산을 유동화해 정리하고 ▲ 부동산 자체 매각을 못하면 채권단이 주관해 공매 처분할 계획이다. 올해 말을 잠정 시한으로 잡고 있다. 결국 이번에 회생 판정을 받았다고 해도 추진 중인 정상화(정리) 작업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법정관리 등 퇴출이 불가피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금융시장도 계속해서 이들 기업의 정상화 과정에 불안한 눈길을 보낼 수밖에 없게 됐다. 김영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