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대 신입생 81% "난 중류층 이상"

아버지는 73%가 대졸이상


올해 서울대 신입생 10명 가운데 8명은 본인의 사회계층을 중류층 이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대졸 이상인 신입생은 73.5%였고 신입생 66%의 아버지 직업이 사무직ㆍ전문직ㆍ경영관리직인 것으로 조사돼 경제적 여유가 있는 고학력 가정의 자녀들이 서울대에 대거 입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서울대 대학생활문화원이 국회 교육위원회 주호영(한나라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2006학년도 합격생의 59.1%인 2,05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81.2%가 ‘스스로 어느 사회계층에 속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중류 이상’이라고 대답했다. 이중 ‘중류’라는 응답이 52.9%로 가장 높았고 ‘중상류’가 26.4%였다. 또 ‘중하류’는 16.4%, ‘하류’ 2.4%, ‘상류’ 1.9% 등이다.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얼마나 되나’라는 질문에는 49.4%가 ‘대졸’, 27.1%가 ‘대학원졸’이라고 응답해 아버지의 학력이 대졸 이상인 신입생은 73.5%에 달했다. 또 ‘고졸’이 19.9%로 뒤를 이었고 ‘중졸’ 2.5%, ‘초졸’ 1.0% 등이었다. 이와 함께 신입생 65.9%의 아버지 직업이 사무직이나 판ㆍ검사ㆍ변호사ㆍ의사 등 전문직, 경영관리직인 것으로 파악됐다. 신입생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직업은 각종 전문직이 23.3%였고 연구소ㆍ대학 19.5%, 국가기관 18.2%, 대기업 및 국영업체 13.8%, 법조계 9.1%, 자영업 3.2% 등이었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