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증권사, 미수거래로 1조4천억원 수입 예상

주식 미수거래를 폐지하는 문제로 논란이 일고있는 가운데 국내 증권사들이 올해 미수거래를 통해 1조4천억원에 육박하는 수입을 올릴 것으로 추정됐다. 증권사들이 미수거래 폐지 논의에 대해 강력 반발하고 나선 이유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1월 일평균 미수금..전년 대비 3배 = 6일 증권업협회에 따르면 1월 일평균 미수금 규모는 2조3천470억원으로 작년 1월 7천47억원에 비해 233%나 급증했다. 1월 일평균 증시 거래대금이 8조5천320억원인 점을 감안할 때 전체 거래에서 미수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7.5%에 달한다. 미수거래란 위탁계좌에 들어 있는 돈보다 많게는 4배까지 주식을 사들이는 것을말하며 이틀 뒤인 결제일까지 대금을 납부하지 못하면 미수금으로 잡힌다. 협회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들이 미수금에 대해 적용하는 이자율은 연 17% 안팎이며 평균 위탁매매수수료율은 0.17%다. 따라서 1월 일평균 미수금 규모가 2006년 내내 지속된다면 증권사들은 이자 수입으로 3천990억원, 미수거래분 위탁매매 수수료로 9천975억원 등 미수거래를 통해총 1조3천965억원을 벌어들일 것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신증거금제..미수금 증가에 기여 = 증권사의 미수거래 수입이 커진 것은 신증거금 제도 도입과 증시 거래대금 증가로 인해 미수금 규모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증권사들은 작년부터 경쟁적으로 신증거금 제도를 도입하면서 종목별 최저 증거금률을 40%에서 20%로 낮추고, 미결제 주식 매도금액도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이에 따라 작년 5월 일평균 미수금은 6천671억원으로 전체 고객예탁금 대비 7.1%에 불과했지만 7월에는 일평균 1조2천430억원, 예탁금 대비 11.2%로 늘어난 뒤 올해 1월에는 2조4천511억원, 예탁금 대비 18.4%로 급증했다. 이시훈 굿모닝신한증권 애널리스트는 "종목별 최저 증거금률을 20%로 낮춘 것보다는 연속 재매매를 허용하면서 매일 미수거래를 반복할 수 있게 한 것이 미수금 증가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 "미수거래 손질" vs 증권업계 "현 제도 유지" = 최근 급락장에서 미수거래가 개인투자자의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금융감독원은 본격적으로 미수제도 개선에 나섰다. 금감원은 미수금 제도의 점진적인 축소, 폐지를 검토하는 가운데 미수거래를 신용거래로 대체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이 애널리스트는 "미수거래를 폐지할 경우 거래대금이 15% 정도 감소해 증권사들의 위탁매매 수수료 수입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게다가 미수금에 대한 이자는 연 17~19%인데 비해 신용융자 이자는 연 10~12%로낮은 편이기 때문에 이자이익 규모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수입원인 미수거래 폐지에 대해 증권업계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증권업협회는 "미수거래를 폐지하면 증시 유동성이 감소하는 등 시장을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