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감사원 "밀라노프로젝트 재검토"

업계 "중복감사" 반발속 대구市선 "보완후 추진"

대구시는 감사원의 밀라노프로젝트 지적에 대해 ‘보완 후 추진’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고 대구 지역 섬유업계는 ‘현실성 없는 중복감사’라며 반발하고 있다. 부산에서도 부산신발진흥사업이 제대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지적에 대해 오는 2008년까지 이뤄지는 2단계 육성사업만이라도 제대로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대구시는 31일 여희광 경제산업국장의 기자회견을 통해 패션어패럴밸리 조성사업에 대한 감사원의 지적을 보완해 계속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여 국장은 “감사원의 지적은 밀라노프로젝트의 핵심 사업인 패션어패럴밸리 조성사업을 패션 중심으로만 가지 말고 현재 수요와 여건을 감안해 계획을 수정하라는 것”이라며 “지난 98년 당초 계획수립 당시 경제여건과 지금은 다른 만큼 수정 보완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대구 섬유업계는 “대구가 패션ㆍ봉제 등 섬유 최종단계 분야가 서울에 비해 낙후된 것은 사실이지만 제직ㆍ염색 등 섬유산업 기반이 잘 조성돼 있는 만큼 섬유산업의 완성도를 높이고 섬유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반드시 패션어패럴단지를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지역경제계 일부에서는 “밀라노프로젝트가 99년 시작된 이래 엄청난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대구 섬유산업은 여전히 곤두박질치며 지역경제를 발목잡고 있다”면서 “이번 기회에 섬유산업을 확실하게 구조조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밀라노프로젝트 전면 재검토를 주장하고 있다. 부산 신발사업과 관련해서는 1차 사업 때 추진주체가 여러 곳으로 분산돼 중복투자와 각종 혼선이 발생한 것을 교훈삼아 사업시행기관을 단일화해 이 같은 부작용을 차단하는 한편 신발과 기타 다른 산업을 연계한 육성방안을 모색할 필요도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문진복 경남정보대 교수는 “1단계 사업이 업계의 목소리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되는 바람에 업계 내부에서도 불협화음이 많았다”면서 “다양한 창구를 개설해 건의사항을 접수하고 상황에 맞는 육성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밀라노프로젝트 사업이란= 밀라노프로젝트는 6,800억원의 예산(국비 3,670억원ㆍ시비 515억원ㆍ민자 2,615억원)을 투입, 대구를 이탈리아 밀라노처럼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만든다는 계획 아래 지난 99년 첫발을 내디딘 사업이다. 이 프로젝트는 신제품개발센터ㆍ패션디자인개발센터 등 섬유산업의 연구개발(R&D) 기반 확충을 위한 인프라 구축사업에 치중한 1단계(2003년 완료)와 지난해 시작된 2단계(예산 1,986억원ㆍ2008년까지)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