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 국방 "RDX 세계서 널리 사용"

"어뢰 가능성 크지만 단정 못해…中ㆍ러에도 결과 설명할 것"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10일 "(천안함에서) 어뢰 제조에 사용되는 화약성분인 RDX가 검출된 것은 사실이지만 RDX가 서방세계에서만 사용되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천안함의 침몰 원인과 피격 무기 등에 대해 각종 의혹과 언론 보도가 잇따르자 이날 국방부 기자실을 방문 진화에 나섰다. 그는 RDX에 대해 "2차대전 때부터 사용된 폭약 성분으로 옛 소련을 포함한 다수의 사회주의 국가에서도 사용됐고, 현재는 모든 국가의 군과 산업현장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민ㆍ군 합동조사단 대변인인 문병옥 해군 준장은 "어뢰뿐 아니라 기뢰도 RDX를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RDX는 TNT 또는 TORPEX(폭뢰형 고성능 폭약) 등과 혼합해 사용되며 테러리스트들도 사용하고 있다. RDX 성분은 천안함 연돌과 폭발원점 해저에서 채취한 모래 등에서 검출됐으며 RDX가 사용되는 폭약은 컴퍼지션(Composition) AㆍA5ㆍBㆍCㆍD, HBX, H-6, 사이클로톨(Cyclotol), C-4 등이 있다. 김 장관은 또 천안함을 두 동강내 침몰시킨 무기에 대해서도 "어뢰 가능성이 좀 더 클 뿐이지 뭐라 말하기는 이르다"며 "화약성분과 조그마한 파편 등이 어뢰 등과 연관이 있는지 분석하고 있는데 쉽지 않다. 다른 국가의 무기체계에 대한 자료가 공개된 게 별로 없어 일정 루트를 통해 입수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하고 함수와 함미의 모양을 고려해 어떤 형태의 폭발인지 시뮬레이션하고 있는데 복합적인 시뮬레이션이라서 시간이 걸리고 있다"며 “민ㆍ군 합동조사단이 20일쯤 조사 결과를 발표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니 조사 결과를 상세히 설명할 때까지 기다려 달라. 근거없는 추측성 보도와 사이버 공간에서의 무분별한 논란은 원인이 규명된 후 우리의 대응과 후속조치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자제를 당부했다. 김 장관은 또 "이번 조사가 끝나면 합조단 명단을 공개할 것"이라며 "중국ㆍ러시아 등에도 앞으로 조사결과를 설명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