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장애인 단 한명도 안뽑은 원자력안전위

국회도 의무고용인원 절반 안돼


원자력안전위원회 같은 공공부문부터 현대, GS 등 대기업그룹 계열사까지 모두 1,700여 곳이 장애인 의무 고용기준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말 기준 장애인 고용 실적이 크게 뒤쳐지는 국가기관과 기업 등 1,706곳의 명단을 공표했다. 명단공개 대상은 장애인 고용률 1.8%(의무고용률 3%의 60% 수준) 미만인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ㆍ준정부기관(상시근로자 100인 이상)이다. 장애인 고용률 1.3%를 밑도는 민간기업(100인 이상)도 포함된다.

원자력안전위는 장애인을 단 한 명도 뽑지 않았으며 국회도 의무고용인원(121명)의 절반이 안되는 56명만을 채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교육청 등 11개 지방교육청과 기초과학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등 공공기관 10곳도 장애인 고용 실적이 저조했다.


30대 기업그룹에서는 부영의 고용률이 0.53%로 가장 낮았고 현대(0.80%), GS(0.83%) 등도 고용이 부진했다. 현대차그룹은 계열사 11곳의 이름을 올려 명단공표대상이 가장 많았고 GSㆍ동부그룹도 각각 9곳의 계열사가 공개 대상에 포함됐다.

관련기사



한국지엠ㆍ두산ㆍ동국제강ㆍ에스오일ㆍ삼성 등 5개 그룹은 장애인 고용실적이 양호했다.

명단공표 내용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www.moel.go.kr),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홈페이지(www.kead.or.kr), 관보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정부는 장애인 고용확대를 위해 단계적으로 의무고용률을 높여가고 있다. 1991년 제도 도입 당시 공무원과 민간기업의 의무고용률은 2%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각각 3%, 2.5%로 상승했고 내년에는 민간기업의 경우 2.7%로 오른다.

우리나라 장애인 고용률은 2008년 1.73%에서 지난해 2.35%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