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짧은 추석연휴, 건강관리는 요령은 ‘무리하지 않는 것’

추석 명절이 1주일도 채 남지 않았다. 올해 추석 연휴는 주말을 끼고 겨우 4일뿐이어서 귀향과 성묘, 귀경 등의 일정을 모두 소화하기에는 상당한 무리가 따를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예년에 비해 보름가량 일찍 찾아온 추석이어서 고온다습한 날씨가 음식보관에도 악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의 도움말로 올 추석 건강관리요령을 알아본다. ◇짧은 추석 연휴, 무리한 일정이 건강 해칠 수도 = 명절 피로의 대부분은 장거리 운전과 수면 부족, 생체리듬의 변화에서 비롯된다. 특히 자동차로 새벽이나 야간에 장거리 이동을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짧은 연휴로 정체가 심각해지면서 피로도는 극에 달할 것으로 우려된다. 또 오랜만에 만나는 친지, 친구들과 회포를 푸느라 평상시보다 늦게 잠자리에 드는 것도 피로도를 높이는 원인 중 하나다. 하지만 명절이 끝나고 명절증후군을 겪지 않으려면 아무리 늦게 자더라도 아침에는 평상시의 기상 시간을 지켜 깨어나는 게 좋다. 정 졸리면 낮에 10~20분씩 토막잠을 자는 게 낫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이와 함께 가급적 연휴 마지막 날은 최대한 휴식을 취함으로써 남은 피로를 완전히 풀 수 있는 완충시간을 갖도록 해야 한다. 따뜻한 물에서 목욕을 하거나 가벼운 체조 등으로 긴장을 풀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정체된 도로, 안전운전의 비결은 스트레칭 = 귀향길이나 귀성길처럼 정체된 도로 위에서는 운전이 단조로워 피로가 가중되고 자칫하면 졸음운전을 하기 쉽다. 따라서 2시간마다 차를 세워 10분 이상씩 휴식을 취해야 한다. 범퍼에 한쪽 다리를 올려놓고 상체를 다리 쪽으로 굽힌 채 15초 동안 멈추기를 교대로 반복하는 체조가 운전자의 피로회복과 정신 집중에 도움이 된다. 밖에서 하는 게 여의치 않다면 운전석에서 한 손으로 운전대를 잡고 다른 한 손은 천장까지 손을 뻗는 동작을 되풀이하면 좋은 스트레칭이 된다. 양어깨를 귀까지 끌어올렸다가 내리기를 반복하는 것도 운전자 스트레칭의 한 방법이다. 운전대를 꽉 쥐었다가 놓는 것도 쉽게 할 수 있는 스트레칭 가운데 하나다. 또 밀폐되고 좁은 공간의 공기는 쉽게 탁해져 머리를 무겁게 하고 졸음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심하게는 두통, 호흡기 질환, 근육 긴장, 혈액순환 장애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를 타고 가는 동안에는 자주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운전 중 흡연을 삼가야 하는 것은 기본이다. ◇고열랑ㆍ고콜레스테롤 음식 주의 = 지병이 있는 환자와 귀향길에 동행할 때는 사전에 응급상황에 대처할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한다. 의료보험증과 상비약을 지참하는 것은 기본이다. 당뇨환자의 경우 과식으로 인한 고혈당도 문제지만 배탈이나 설사로 저혈당이 유발될 수도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또 고혈압이나 심장병 환자가 염분을 많이 섭취하면 체내에 수분이 고이는 ‘울혈성 심부전’이 올 수 있다. 신장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어디서나 응급상황에서 먹을 수 있는 약을 준비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식혜, 떡, 부침, 고기 등의 기름지고 단 명절음식은 고열량, 고콜레스테롤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농도를 증가시켜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증 환자들의 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다. 평소 식이요법으로 건강관리를 하고 있다면 명절의 분위기에 휩쓸려 평소 생활습관을 잃지 않도록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 지나친 음주로 인한 급성위염이나 숙취, 간 기능 장애 등도 주의가 필요하다. 이와 함께 연휴기간에는 적응력이 약한 소아는 물론 성인도 과음ㆍ과식으로 소화기 장애가 생기기 쉬운 만큼 상비약으로 소화제를 미리 준비해두는 것도 도움이 된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