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부산시와 부산항만공사(BPA) 등에 따르면 부산항 내 원활한 물류 흐름과 시내 교통량 정체 해소 등을 위해 BPA는 부산항 북항∼신항 해상셔틀 운송을 중단 2년6개월 만에 부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부산항 해상셔틀은 연근해 피더선박을 이용해 북항과 신항을 오가는 환적화물을 운송하는 것으로 항만 경쟁력 확보에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발전연구원의 연구용역 결과 지난 2007년 10월부터 2010년말까지 3년2개월 동안 BPA가 해상셔틀에 지원한 예산은 112억원이었다. 이에 비해 환경비용절감액 329억원에 도로파손·혼잡비 절감액 66억원 등 400억원에 가까운 사회적 비용을 아낀 것으로 조사됐다.
BPA는 이 같은 효과를 바탕으로 지난 6월 북항~신항 간 해상셔틀 운송을 재개하기로 방침을 정했고 부산시도 도로파손과 환경오염 등을 내세워 운송재개를 제안, 현재 양자간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
부산시는 그러나 협의 과정에서 BPA가 연간 소요예산인 40억원의 절반 가량을 지원해 달라고 요청하자 답을 주지 않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뚜렷한 이유 없이 BPA와의 협의를 중단한 채 이미 내부적으로는 시 관련 예산 부족을 이유로 예산지원 불가 방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해수부도 올해 전환교통 사업은 이미 사업자가 선정되어 집행 중임을 이유로 지원불가를 밝혀온 상태다.
BPA는 해수부와 부산시의 예산 지원이 사실상 불가능해지자 사업을 민간사업자 제안방식 공모를 통해 해결하기로 하고 최근 제안서 공모관련 제반 사항 검토에 들어갔다. 하지만 민간제안 방식은 항만위원회 심의 등 필수 절차 이행에 수개월이 소요되는데다 운항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사업에 과연 민간 사업자가 나설지도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때문에 해상셔틀 운송재개가 무산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부산시는 "예산 부담은 항만공사가 하는 게 맞다"며 책임을 떠넘겨 항만업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 실제로 부산시는 컨테이너 차량이 환경오염과 도로파손 등을 유발하니까 항만 쪽에서 예산을 부담하는 게 적절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지역 항만업계 관계자는 "교통난과 소음, 오염물질, 도로파손 등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해상셔틀운송 부활을 돈 문제만 따져 외면하고 있고 부산시도 돈 문제를 들어 무책임한 태도로 방관하고 있다"며 "북항∼신항 셔틀운송을 육상운송과 해상운송, 철도운송으로 다변화하고 친환경운송수단인 해상운송에 예산을 분담하는 게 적절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