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노조가 올해 임단협과 관련해 사용자 측에 해외 공장 생산비율제 도입을 요구하기로 한 명분은 국내 자동차산업 근로자들의 고용안정이다. 현대 기아차 등 국내 완성차업계의 해외 생산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데 이를 그대로 두면 결과적으로 국내 근로자들의 고용이 위협 받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강지현 금속노조 홍보실장은 "국내 완성차업계의 해외 생산비율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면서 "이를 방치할 경우 국내 조립공장뿐만 아니라 협력 부품업체 근로자들의 고용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단 현대차지부는 금속노조의 이 같은 방침에 따를 방침이다. 현대차지부의 한 관계자는 "금속노조에서 생산비율제 요구 공문을 받았다"면서 "올해 임단협에서 강력하게 요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아차지부 역시 내부 의견수렴을 거쳐 다음달까지 수용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하지만 노조의 이 같은 요구는 최근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자동차업계의 현실을 제대로 감안하지 못한 주장이라고 지적됐다. 국내와 해외 공장의 생산을 절대적인 생산량이 아닌 비율로 제한할 경우 해외 생산량이 원천적으로 증가될 수 없기 때문이다.
현대차 노사 간에 체결된 단협에는 이미 자동차 생산량을 지난 2007년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이는 생산물량 감소에 따른 고용불안을 해소하는 차원에서 노조가 요구해 받아들여진 것으로 이번 요구안과 흐름은 같지만 내용은 완전히 다르다. 즉 기존 단협에서는 국내 생산량만 유지하면 해외 생산량을 늘려도 괜찮지만 이번 요구안대로라면 해외 생산 증가가 원천적으로 봉쇄된다.
현대차의 한 관계자는 "국내 생산량 유지 부분도 글로벌 시장의 판단에 맡겨야 할 것으로 지켜지지 않을 수 있는 것 아니냐"며 "해외와 국내 생산비율을 유지하자는 것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이라고 못 박았다.
이 관계자는 "지금 글로벌 자동차시장의 급변하는 상황을 잘 알고 있는 노조가 이 같은 요구안을 내놓은 것은 다른 요구를 관철하기 위한 일종의 카드일 수 있다"며 "현대차지부가 이를 어떻게 받아들일지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금속노조의 한 관계자는 "해외 생산을 하지 말자는 것이 아니라 노사 동수의 위원회를 구성해 적정 해외 생산비율을 정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