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중국 저우융캉 측근도 유령회사 수십개 차려

해외 자금은닉 파문 확산

부패혐의로 인해 사법처리 대기 중인 것으로 알려진 저우융캉 전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 겸 정법위원회 서기의 측근들이 조세회피처에 유령회사 수십개를 세운 것으로 확인됐다. 또 많은 대만·홍콩의 부유층이 페이퍼컴퍼니를 만든 사실도 드러나 해외자금 은닉 및 역외탈세 파문이 중화권 전체로 번지고 있다.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는 23일 각국 언론과 공동 취재결과 푸청위 중국석유화학집단공사(시노펙) 회장 등 중국 3대 국영석유기업(시노펙·중국석유천연가스집단·중국해양석유총공사) 전·현직 임직원 20명이 지난 1995~2008년 사이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등 조세회피처에 30개 유령회사를 세운 것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들 중 25곳에 대한 정보는 철저히 제한돼 단순 세금회피나 국제거래상의 편의 목적을 넘어 불법 돈세탁이나 회사 돈을 횡령하려는 용도일 수 있다고 ICIJ와 협력하고 있는 한국의 뉴스타파가 분석했다.

관련기사



3대 국영석유기업 출신 인사들은 '석유방'으로 알려진 저우융캉의 핵심 세력기반이다. 저우 전 서기는 전직 상무위원으로는 처음으로 사법 처리가 확실시되며 측근들도 줄줄이 정부의 반부패 운동에 걸려 낙마하는 형편이다.

전날 시진핑 국가 주석의 매형 등 중국 최고위층의 역외탈세 의혹을 터뜨린 ICIJ는 이날 10만여개가 넘는 유령회사의 주주 정보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조세회피처에 페이퍼컴퍼니를 차린 중국 본토 출신 대주주(사람·법인)는 9,037명, 홍콩은 1만5,124명으로 총 2만4,161명에 달한다. 대만도 1만6,745명이나 됐다.

이와 관련, ICIJ와 협조해 온 대만 시사주간매체 텐샤는 현지 1~3위 갑부를 포함해 50위 내 부자 12명이 유령회사를 차려 자금을 빼돌렸다며 이들의 역외탈세로 인한 국고 손실이 지난 10년간 3,000억대만달러(약 10조5,000억원)에 이른다고 추산했다. 홍콩 언론도 부동산 재벌 헨리 청카순을 비롯한 자산가들의 자금은닉 의혹을 보도했다. 한편 한국 국적 법인·개인 203명의 명단도 ICIJ 웹사이트에서 공개됐다. 이는 ICIJ의 한국 파트너인 뉴스타파가 지난해 5월 발표한 254명보다 적은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