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부시 美의회연설 의미ㆍ파장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20일 미 의회 연설을 통해 테러와의 '총체적 전쟁'을 선포함에 따라 대테러와의 전쟁은 이제 택일만 남았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텔레비전을 통해 생중계된 열설에서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정권과 어떠한 대화나 타협을 하지 않겠다"며 "정의가 행해질 것"이라고 선언했다. 그는 "전세계적인 테러조직을 분쇄하기 위해 외교, 정보, 사법, 금융, 군사 등 모든 가능한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강조한 뒤 "전세계 국가들은 테러반대와 테러지지 양자 가운데 하나의 입장을 선택하라"고 촉구했다. 부시 대통령은 초미의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는 아프가니스탄 및 테러지원 국가에 대한 미국의 보복전 양상에 대해 단기전이 아닌 장기전 양상을 띨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TV로 중계가능한 극적인 공습뿐 아니라 은밀하고 비밀스런 작전도 불사한다"고 다짐했다. 이번 테러의 주동자로 지목되고 있는 오사마 빈 라덴을 보호하고 있는 탈레반정권에 대해서는 ▦미국측에 테러조직 알 카에다 지도자 전원 양도 ▦미국인 2명을 포함한 외국인 죄수 석방 ▦외국 언론인, 외교관, 구호활동가 보호 ▦테러리스트 기지 봉쇄 및 테러리스트 양도 ▦기지봉쇄에 대한 미국측 조사 허용 등 5가지 항을 요구했다. 그는 이 조건을 즉각 수용하지 않을 경우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정권은 테러조직과 운명을 같이 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 이번 연설이 최후통첩임을 명확히 했다. 이에 따라 부시의 연설에 앞서 빈 라덴에게 아프가니스탄을 떠나라고 요구했던 탈레반 정권의 대응이 이번 사건의 향배를 좌우하는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게 됐다. 만약 아프간이 미온적인 태도를 보일 경우 특수부대를 동원한 군사작전 뿐 아니라 전투기의 대규모 공습 등 미국의 군사행동이 수일 내 감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특히 이번 전쟁의 성격을 미국과 테러와의 전쟁이 아닌 "자유, 문명과 테러와의 전쟁"이라고 규정, 전세계 국가의 동참을 촉구했다. 부시 대통령은 테러와의 전쟁에 동참하지 않고 자유측에 서지 않은 세력이나 국가는 미국의 적대세력으로 간주하겠다고 천명, 다국적군 구성을 비롯한 국제연대 구성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는 또 아프가니스탄 공격과 빈 라덴 제거 이후에도 미국의 군사행동이 뒤따를 것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부시는 이슬람 국가들에 대한 배려도 잊지 않았다. 그는 "이번 전쟁은 이슬람이나 아랍의 친구들을 겨냥한 게 아니다"며 "우리의 적은 급진 테러리스트조직과 그들을 비호하는 국가들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이 이번 전쟁이 이슬람과 기독교 문명의 충돌로 비쳐지거나 자칫 중동전으로 확대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음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부시 대통령은 또 이번 사건을 계기로 대통령 직속기구로 '조국안보국(Office of Homeland Security)'을 창설하겠다고 밝히고 톰 리지 펜실베이니아주지사를 책임자로 임명했다. 부시는 미국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테러 방지 업무를 통합 조정할 조국안보국은 여러 정부기관들의 대(對) 테러 업무를 최고위급에서 지휘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호정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