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위기政局, 정면돌파 하겠다”

■ 盧대통령, 중앙언론사 정치부장단과 오찬<br>대연정·정치협상등 “野 비협조·불신” 토로<br>“언론과 협력관계전환” 경제 대안제시 당부

노무현 대통령이 18일 청와대에서 중앙언론사 정치부장단 초청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최종욱기자


“위기政局, 정면돌파 하겠다” ■ 盧대통령, 중앙언론사 정치부장단과 오찬대연정·정치협상등 “野 비협조·불신” 토로“언론과 협력관계전환” 경제 대안제시 당부 권홍우기자 hongw@sed.co.kr 권구찬기자 chans@sed.co.kr 노무현 대통령이 18일 청와대에서 중앙언론사 정치부장단 초청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최종욱기자 관련기사 • 조윤제 대사 리포트 주목 • 92년 월정사는 대선캠프? • 李총리에 각별한 신뢰표시 노무현 대통령이 18일 주요언론사 정치부장들과 간담회를 가진 것은 대연정과 과거사 정리, 옛 안기부 도청 등으로 어수선한 정국을 정면 돌파하려는 의지로 풀이된다. 다음주에 지방언론사 편집국장단, 중앙언론사 논설위원단과 간담회 일정을 잇따라 잡은 것에서도 같은 맥락에서다. 노 대통령은 오찬 포함 2시간30분 동안 이어진 간담회의 약 70%의 시간을 정치 분야에 할애, 정치현안 해결에 대한 강한 의욕을 내비쳤다. 참여정부 출범 이후 언론사 편집국장단, 경제부장단과 간담회는 수 차례 열렸지만 정치부장단과 만남은 이번이 처음이었다는 점도 노 대통령의 정국 타개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러나 노 대통령은 대화를 강조하면서도 야당의 비협조와 불신을 여러 차례 언급, 여야간 타협점 마련의 과정이 험난할 것이라는 전망을 낳았다. ◇대연정ㆍ정치협상=노 대통령이 이날 가장 강조한 분야는 대연정. 노 대통령은 인사말을 통해 언론과 관계를 잠시 언급한 후 '위기감'을 들고 나왔다. 일부 언론이 대통령의 뜻을 왜곡 전달할 수 있다는 점을 의식한 듯 "위기의 의미가 잘못 전달되지 않기를 각별히 부탁 드린다"고 전제한 노 대통령은 "'그대로 두면 장차 위기로 나갈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문제의식'을 여야는 물론 국민과 언론이 함께 공유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위기란 선거제도로 인한 정치권 분열과 지역갈등 심화. 노 대통령은 "(현행 선거제도가 지속될 경우) 항상 야대(野大)가 되는 구조를 두고 고민을 많이 했다"며 말문을 열었다. 수년 전부터 고민해온 문제를 4월30일(4ㆍ30재보선 당일) 이후 본격적으로 연구해 수개월 동안 생각과 문장을 가다듬어 대연정을 제의하게 됐다는 것. 노 대통령은 독일 슈뢰더 총리와 일본 고이즈미의 개혁 실패를 사례로 들어 '정책 하나에 정권이 흔들릴 정도로 정치지도력의 위기는 세계적인 현상'이라며 '한국적 특수한 위기'를 극복할 방안으로 대연정을 꼽았다. 한국적 특수성이란 '(야당과) 대화 자체가 안 되는, 정상적 민주주의의 운영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을 뜻한다. 노 대통령은 대화를 거부하는 야당을 설득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의 정치협상'에 나설 뜻을 분명히 밝혔다. 적어도 연말까지 청와대발 정치구조 개편 논의가 지속적으로 나올 것으로 보인다. 국회에서 의결을 통해 처리되는 안건을 대연정 하의 합동 의총에서 처리할 경우 보다 합리적인 결과가 나올 것이라는 게 노 대통령의 기대다. ◇물밑 대화 어렵다=그러나 야당과의 간극 해소에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전망이다. 노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야당에 대한 섭섭함을 수 차례 토로했다. 대화를 위해 여러 차례 찾아가고 불러 모셨지만 거부 당했다는 것. '이 정권을 인정하고 싶지 않다'는 한나라당에 일부 장관직을 제안한 적도 있었다는 비화도 소개했다. 야당이 주장하는 거국 내각과 대연정의 차이가 없는데도 대연정은 안 된다는 야당과 물밑 대화가 어렵다는 점을 실토한 셈이다. 노 대통령은 민주당 인사의 입각이 실패했던 사례를 들며 정치인간 대화를 일정부문 수용하는 사회적 관용성이 없는 한 물밑 대화는 어렵다고 말했다. ◇'언론은 대안 제시해야'=대통령 스스로 언론관계가 변했다고 언급한 점도 주목할 대목이다. '포괄적으로 얘기해 정상화됐다'는 것이다. 긴장 관계에서 '창조적인 경쟁과 협력관계'로 가자는 게 골자다. 언론 본연의 기능인 비판과 견제 외에도 대안을 제시해 달라는 것이다. 노 대통령은 특히 경제관련 기사에서의 대안 제시에 목소리를 높였다. 집권후반기 경제 정책의 근간을 묻는 질문에 '불만부터 말하겠다'며 경제기사의 흐름에 강한 톤으로 불만을 제기했다. 구체적인 정책이 안 나오면 '일을 안 한다'고 비판하고 정책이 나오면 잘못된 방향이라고 지적하며, 정책을 수정하거나 검토에 들어가면 주춤거리거나 왔다 갔다 한다는 비판이 나온다는 것. 노 대통령은 구체적인 사례로 고유가 대책을 꼽았다. 또 '지금까지는 잘못된 기사에만 대응을 해왔으나 앞으로는 대안이 없는 기사에도 대응을 하겠다'는 뜻을 분명하게 밝혔다. 경제분야 기사를 두고 정부와 언론과의 관계가 불편해질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노 대통령은 언론이 제시한 대안에는 참모들과 진지하게 토론해 수용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안기부 도청, '국정원 일부 조직 도청과 정권의 도청 구분돼야'=노 대통령은 국민의 정부 시절 국정원에 의한 불법도청에 대해 "정권이 책임질만한 과오는 없다"고 말했다. 정권의 도청과 국정원 일부 조직의 도청은 구분돼서 논의돼야 한다는 것. DJ측의 반발을 의식하는 동시에 일부 정보 기관원들의 자의에 의한 도청을 뿌리뽑겠다는 의중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노 대통령은 국정원이 발표 전 결과를 갖고 왔을 때 "국정원의 도청이라고 생각했지, 그것이 전 정권의 도청으로 해석되리라는 생각도 못했다"고 말했다. 또 "이는 내 상상의 부족"이라며 "이 것이 정권차원의 엄청난 사건으로 비화돼 버리니까 나도 지금 당황해 있는 상황이고 '참여정부 도청 없었냐'고 물으면 말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수사결과 보자'고 말할 수밖에 없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불법 도청에 대한 정치적 판단을 배제하고 수사 결과를 기다리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동교동과 민주당은 수긍할 수 있더라도 한나라당의 공세가 예상된다. 입력시간 : 2005/08/18 17:57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