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올 문화계 결산- 출판·문학계

獨 도서전 등 굵직한 행사 풍성<br>처세·경제서 판매 늘고 인문·사회는 부진<br>문학계 신세대 감각의 신진작가들 두각

지난 10월에 열린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 주빈국 행사.

올해는 출판ㆍ문학계에 유난히도 굵직한 행사들이 많은 한해였다. 중견 작가들의 경우 ‘행사에 참여하느라 책 쓸 짬이 없지 않았겠느냐’는 우스갯소리가 안팎에서 나올 정도다. 가장 큰 이벤트는 10월에 열린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 주빈국 행사. 올해 우리가 주빈국으로 참여한 이 행사는 한국 문학과 출판 문화를 독일을 비롯 전 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톡톡히 했다.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주빈국 초청을 계기로 3월부터는 고은, 황석영, 김훈, 황지우, 신경숙, 김영하 등의 한국 작가들이 라이프치히, 본, 쾰른 등 독일 주요도시를 순회하며 자신의 작품을 직접 소개해 현지에서 큰 호응을 받았다. 이에 앞서 7월에는 북한에서 ‘6ㆍ15 공동선언 실천을 위한 민족작가대회’가 열렸다. 6ㆍ25전쟁 이후 갈라진 남북 문단이 반세기 남짓 기간 만에 하나가 되는 상봉이었다. 남북작가대회 기간 동안 고은, 황석영, 백낙청씨 등 100여명의 남측 문인 대표들이 북측 오영재, 홍석중 등과 백두산 천지에서 해맞이를 하며 통일을 염원했으며 6ㆍ15민족문학인협회 결성과 통일문학상 제정 등 구체적 교류 방안에 합의하기도 했다. 5월에 열린 제2회 서울국제문학포럼에는 오에 겐자부로를 비롯해 프랑스 석학 장 보드리야르와 터키의 작가 오르한 파묵, 칠레의 루이스 세풀베다 등이 참석해 국내 작가들과 열띤 토론을 벌였다. 문학계에서는 중견 작가들보다는 신진들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신세대 감각을 자랑하는 박민규가 첫 소설집 카스테라로 신동엽 창작상을 수상했고 김연수는 ‘나는 유령작가입니다’로 대산문학상을 받았다. 스물다섯살의 김애란은 단편소설 ‘달려라, 아비’로 한국일보 문학상을 수상해 주목을 받았다. 서점가에서는 처세ㆍ취미ㆍ실용도서나 경제ㆍ경영서 판매가 두드러졌고 인문ㆍ사회과학서는 부진했다. ‘살아있는 동안 꼭 해야 할 49가지’가 100만부 이상 출고됐고 ‘블루오션 전략’은 경제ㆍ경영서에서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블루오션’이라는 유행어를 낳았다. 출판계에서는 영구적인 완전정가제 도입을 골자로 한 법안이 국회에 제출되면서 도서정가제를 둘러싼 논란이 일었다. 인터넷 서점과 시민단체는 “출판환경 변화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며 개정법안에 반대하고 있다. 반면 한국서점조합연합회 등은 “완전 정가제만이 현재 붕괴 직전의 중소 서점가를 살릴 수 있다”며 지지 입장을 보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