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12월15일] 명동에 구세군냄비 첫 등장

올해도 어김없이 길거리에는 빨간색 구세군 냄비와 함께 종소리가 울려 퍼지고 있다. 이웃사랑과 나눔ㆍ온정의 상징인 구세군 냄비에 정성을 담을 때 사람들은 사랑과 평화를 느낀다. 비록 몸은 춥더라도 마음만은 얼마든지 따뜻해질 수 있다. 연말이면 등장하는 구세군 자선냄비의 역사는 100년이 넘었다. 구세군 자선냄비가 등장한 것은 1891년 미국의 샌프란시스코. 그해 겨울 성탄절을 앞두고 샌프란시스코 앞바다에서 배 한 척이 침몰해 1,000여명의 생존자들이 추위와 배고픔에 떨어야 했다. 구세군 사관 조셉 맥피는 갑작스레 재난을 당한 이들 난민과 도시빈민을 도울 방법을 연구하던 중 기발한 생각이 떠올랐다. 옛날 영국에서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누군가 썼던 그 방법이 생각난 것이다. 맥피는 오클랜드 부두로 나가 주방용 쇠솥을 거리에 내걸었다. 쇠솥에는 ‘이 국솥을 끓게 하자’고 써 붙였다. 사람들은 처음에는 그냥 지나치는가 싶더니 점차 쇠솥에 마음과 정성을 담기 시작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불행한 이웃들에게 따뜻한 식사를 제공할 수 있을 만큼 돈이 모였다. 불우한 이웃을 돕기 위해 고민하며 기도하던 한 구세군 사관의 깊은 마음이 바로 오늘날 전세계 100여개 나라에서 매년 성탄절이면 내걸리는 구세군 자선냄비의 시작이 됐다. 그리고 그 정신은 오늘날 모든 구세군 자선냄비의 종소리를 타고 우리 사회 깊숙이 파고들어 모든 이에게 이웃사랑의 필요성을 되살려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구세군 냄비가 1928년 12월15일 명동에 처음 등장해 사랑의 종을 울렸다. 당시 한국 구세군 사령관이었던 박준섭 사관이 서울 도심에 자선냄비를 설치하고 불우이웃 돕기를 시작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