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원·달러 환율 연평균 5% 떨어지면 실질GDP 0.35%P 하락"

경상흑자 29억弗 줄고 수출 채산성도 3~5% 악화




원ㆍ달러 환율이 연평균 5%가량 떨어지면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0.35%포인트 하락하고 경상수지 흑자도 29억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수출 주력산업의 채산성도 3~5% 정도 악화될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연구원(KIET)은 16일 ‘원화 강세의 산업별 영향과 대응’ 보고서에서 “올해 환율이 950~1,000원대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이 같은 분석과 함께 5% 하락으로 수출물량은 1.6%포인트 감소하는 반면 수입물량은 1.7%포인트 증가해 경상수지가 연간 29억달러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비자물가는 수입물가 하락과 경기위축의 영향으로 0.5%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다만 지난 2002년 이후 원화 강세 기간 동안 환율과 수출단가ㆍ수출물량의 상관관계가 약화돼왔고, 수출물량의 가격탄력성을 측정해본 결과 원화 약세기에 0.93이었던 탄력성이 원화 강세기에는 0.80으로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올해 환율이 평균 5% 하락할 경우 주력산업의 수출은 1.0%가량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며 “가격경쟁력이 취약한 섬유와 컴퓨터 등은 수출감소가 비교적 클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조선과 반도체 등은 환율 하락의 영향이 극히 미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동차, 일반기계, 가전 및 통신기기의 경우도 기술과 품질경쟁력이 높고 환율 하락분의 수출가격 전가도가 낮아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이며, 원자재나 중간재 수입비중이 높은 철강과 석유화학 등은 환율 하락의 영향이 오히려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파악됐다. 수출채산성의 경우 대부분 업종에서 환율 하락에 따른 단기적인 채산성 악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5% 정도 하락할 경우 자동차ㆍ일반기계ㆍ반도체ㆍ가전 등 업종의 채산성은 3~5%가량 악화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섬유와 컴퓨터 등도 환율 하락에 따른 수출가격 인상에 한계가 있어 비슷한 수준의 채산성 악화가 예상되며 원자재 및 중간재 수입 비중이 높은 철강과 석유화학 등 소재산업은 투입 수입재 가격 하락으로 환율하락에 따른 채산성 악화의 상당 부분을 보전할 것이라고 연구원은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