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은퇴자 가구 38% 최소생활비도 못벌어

은퇴 이후 최소생활비조차 벌지 못하는 은퇴빈곤가구가 전체 고령은퇴가구의 40%에 육박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 정민 연구원은 21일 지난해 실시된 가계금융조사를 토대로‘은퇴빈곤층의 추정과 5대 특성’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고령은퇴가구 264만3,000가구 가운데 은퇴빈곤가구는 38.4%인 101만5,000가구인 것으로 추산됐다. 은퇴빈곤가구란 은퇴후 소득인정액이 최소생활비보다 적은 가구를 가리킨다. 반면 은퇴 후 소득 인정액이 적정생활비보다 많은 은퇴부유가구는 3.2%인 8만4,000가구에 불과했다. 특히 단독가구의 경우 절반 이상인 56.6%가 은퇴빈곤가구였으며, 은퇴부유가구는 1.2%에 머물렀다. 은퇴빈곤가구의 자산은 대부분 거주와 관련된 주택 및 전ㆍ월세 보증금에 묶여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은퇴빈곤가구의 평균 자산은 7,000만원으로, 거주 주책과 전ㆍ월세 보증금이 76.7%에 달했다. 질병 등 뜻하지 않은 사고가 발생해 집을 팔거나 보증금을 빼 쓸 경우 길거리로 나 앉을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 있는 것이다. 주택을 소유하고도 빈곤층으로 분류되는 가구는 전체 은퇴빈곤가구의 절반이 넘는 51.7%를 기록했다. 반대로 은퇴부유가구의 평균 자산은 15억7,000만원에 달했으며 거주 관련 자산 비중도 47.5%로 절반에 못 미쳤다. 사적 연금에서도 두 계층간 편차가 36배에 달하는 등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각했다. 은퇴빈곤가구는 개인적으로 준비한 노후자금(사적연금)은 평균 61만원에 불과했으나 은퇴부유가구는 2,200만원에 달했다. 정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은퇴빈곤층을 줄이기 위해 주택연금과 즉시연금 가입을 활성화하고, 복지제도 사각지대 해소와 은퇴 후의 재취업 기회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승현 기자 pimple@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