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7월 28일] 펀드매니저 공시 기대하며

이연선 증권부 기자 매일 아침 증권사에서 쏟아져 나오는 리포트는 투자자들의 판단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친다. 과거보다 영향력이 많이 줄었다고 하지만 전문가의 분석은 여전히 투자의 나침반 역할을 한다. 리포트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다음달 9일부터 애널리스트 정보가 공시된다. 금융투자협회가 구축한 ‘애널리스트 공시시스템’을 통해 각 증권사에 소속된 애널리스트의 인적사항과 그가 작성한 리포트를 열람할 수 있다. 외부기관이 리포트를 분석한 자료도 정기적으로 나올 예정이어서 애널리스트들은 아무래도 좀 더 책임 있는 분석을 내놓아야 하는 부담이 생겼다. 펀드를 운용하는 펀드매니저에 대한 정보를 이렇게 공시한다면 어떨까. 펀드매니저는 펀드 투자자들의 수익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물론 펀드매니저들은 정기적으로 펀드 운용보고서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토대로 펀드를 비교분석하긴 쉽지 않고, 내 펀드의 펀드매니저에 대해 판단을 내리긴 더더욱 어렵다. 공시시스템을 통해 펀드매니저의 운용경력을 공개한다면 투자자들 입장에서 펀드를 고르는 또 하나의 명확한 기준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그러나 업계 현실에 비춰봤을 때 ‘펀드매니저 공시시스템’을 구축하긴 쉽지 않아 보인다. 대부분 운용사들이 펀드 운용을 팀(Team)제로 운영, 펀드 성적을 팀 전체 성적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팀이 흩어지면 수익률은 팀장 것이기도, 팀원 것이기도 한 애매한 상황이 된다. 경영진 입장에선 팀제 운영시스템이 스타 펀드매니저 시스템보다 저렴(?)하다. 펀드매니저를 경쟁시키는 것이 과도한 ‘쏠림 현상’이나 과열을 가져올 수 있다는 감독당국의 우려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다만 운영자가 지금처럼 펀드 뒤에 가려진 상태에서는 펀드매니저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렵다. 펀드업계에 대한 신뢰 회복도 요원해 보인다. ‘박현주 펀드’처럼 펀드매니저 이름 석자를 자신 있게 내건 펀드가 나온 지도 벌써 10여 년이 흘렀다. 코스피가 연중 최고점을 경신해도 펀드 자금유출만 앉아서 걱정해야 하는 펀드업계를 바라보다가 안타까운 마음에 들었던 생각이다. /bluedash@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