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시중금리 상승과 콜금리 동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어제 콜금리 목표를 연 4.50%로 동결했다. 지난해 8월 이후 계속된 10개월째의 동결이다. 유동성 과잉으로 인한 부작용 등 금리인상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는데도 콜금리를 동결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경기회복에 대한 확신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은의 진단대로 최근의 경기 회복세가 완연한 것은 사실이다. 수출은 지난달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정도로 꾸준히 호조를 이어가고 있고 내수도 꾸준히 되살아나고 있음이 역력하다. 여기에 주식시장까지 활황을 계속해 주머니를 여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6개월 후의 경기상황을 예고하는 소비자기대지수도 지난 4~5월 두 달 연속 기준치인 100을 넘었다. 경기가 좋아진다는 신호가 이어지다 보니 소비가 늘고 생산증가→투자확대→성장고조 등 경제의 선순환 구조가 확대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렇다고 경기가 회복국면에 들어섰다고 단정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월간 소비재 판매는 여전히 들쭉날쭉 가늠하기 어렵고 제조업업황지수도 아직은 기준치(100)를 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원고와 고유가 등으로 수출환경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한은이 10개월째 콜금리 목표를 동결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하지만 한은의 콜금리 동결기조가 계속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유럽중앙은행(ECB)을 비롯한 뉴질랜드 등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정책금리를 올렸고 미국과 중국ㆍ일본 등 다른 나라들도 인플레이션 압력이 가중돼 조만간 금리를 올릴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난 10년 동안 계속됐던 인플레이션 없는 성장이 마무리되면서 저금리 기조도 깨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저금리 시대가 끝나고 고금리 시대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얘기다. 이성태 한은 총재도 하반기에 콜금리를 인상할 뜻을 내비쳤다. 앞으로 진행될 고금리가 몰고 올 폭풍에 미리 대비해야 할 때다.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미국의 금리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소식으로 뉴욕증시는 휘청댔고 서울증시도 어제 큰 폭으로 떨어졌다. 가구당 빚이 3,700만원 가까이에 이르는 가계, 해외 차입을 늘리고 있는 기업 등 경제주체들 모두의 선제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