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노화 알리는 대표적 질환, '퇴행성관절염'

DNA프롤로치료를 통해 부담 없이 치료 가능

(사진=세바른병원 강서점 송은성 원장)

우리는 나이가 들면서 누구나 신체의 노화를 피할 수 없다. 각종 신체 기관의 기능은 점점 떨어지고 물리적인 마모를 겪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는 관절에도 나타나게 되는데 관절 사이의 연골이 약해지고 염증이 생기는 퇴행성관절염이 대표적이다.

특히나 한국인은 오랜 좌식생활로 인해 무릎 관절의 사용이 더욱 잦은 만큼, 퇴행성관절염과 같은 관절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퇴행성관절염은 연골이 손상되고 마모되면서 관절에 통증을 불러오는 질환을 말한다. 이 퇴행성관절염은 그 진행 과정에 따라서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처음에는 관절을 사용할 때만 통증이 나타나고 휴식을 취하면 괜찮아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증상이 악화되면 관절을 사용하지 않아도 통증이 계속되며 열과 붓기를 동반하기도 한다. 극심한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것은 물론이다.


50대 이상이라면 작은 통증도 무시 못해

관련기사



주로 50대 이후의 중년층에게 발생하는 퇴행성관절염은 조기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간혹 나타나는 무릎 통증 정도는 별 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지나가 질환을 더욱 키우는 경우가 허다하다. 따라서 50대 이상의 연령이라면 작은 통증이라도 가볍게 넘기지 말고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서울 강서구 등촌동에 위치한 세바른병원 강서점 송은성 원장은 “초기 퇴행성관절염은 연골손상이 경미하기 때문에 굳이 수술적 치료를 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DNA프롤로치료를 통해서 많은 관절염 환자들이 통증을 가라앉히고 증상의 진행을 막고 있다.”라고 전했다.

DNA프롤로치료는 우리 몸의 치유능력을 자극시킴으로써 세포의 재활성과 재생, 신속한 조직의 재생을 돕는 치료방법이다. 치료에는 DNA의 일부 물질인 PDRN을 이용하는데, PDRN의 섬유아세포가 신체에 필요한 세포를 분화하여 손상된 인대와 연골, 힘줄 등을 재생시키는 것이다.

시술시간이 매우 짧고, 간단한 주사 치료로 시행하는 만큼 고령의 환자도 부담을 느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여러 번에 걸쳐 반복적으로 시술을 받는 데도 어려움이 없다.

무엇보다 DNA프롤로치료의 경우 단순히 통증을 줄여주는 것을 넘어, 조직 재생을 통해 근본적으로 질환을 치료하므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무릎과 어깨, 팔꿈치, 발목 등 다양한 관절 부위의 치료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 하다. /디지털미디어부

[위 기사는 해당업체의 자료를 기초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